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전통 민속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초등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민속문화 교육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다민족 국가인 중국은 각 민족의 전통 민속문화 보전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중화민족의 민속문화 계승 발전을 위한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전 학년 미술 교과서의 도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민속문화 관련 도판은 총 49개로 중국 관련 총 도판의 12%를 차지한다. 둘째, 학습 영역은 조형·표현영역, 디자인·응용영역, 감상·비평영역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셋째, 다민족으로 구성된 중화민족의 민속문화는 56개 민족 중 17개 민족의 민속문화가 소개되고 있으며, 지역으로는 14개 지역의 민속문화가 수록되어 있다. 넷째, 민속문화와 관련된 교육 내용은 민간 완구, 수공예 장식품, 자수, 염직, 전지공예, 민가, 조소, 그림자 인형극, 연화, 탁본, 전통 명절, 전통의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민간 완구와 수공예분야의 도판이 전체 7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 흥미 유발을 위한 참고 자료로서의 단순 제시 등은 보다 나은 민속문화 교육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educational contents of folk culture i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China’s traditional folk culture education. China, as a multi-ethnic nation, has established a legal basis for the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traditional folk culture of ethnic groups and has implemented educational policies to promote these folk cultur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cluded in the art textbooks for all grade levels. First, illustrations related to Chinese folk culture in the textbooks are 49 in total, making up 12% of the total textbook illustrations. Second, educational areas represented are relatively evenly divided between sculpting and molding, design application,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ird, folk culture of 17 ethnic groups from 14 different regions are introduced in the textbooks out of 56 ethnic groups recognized in China. Fourth,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folk culture consists of folk toys, handcrafted ornaments, embroidery, dyeing and weaving, paper crafts, folk architect, sculpture, shadow puppetry, lotus paintings, rubbing, traditional holidays and traditional clothing. However, the fact that more than 70% of the images are of folk toys and handcrafted items and that some illustrations were inserted merely to arouse curiosity are areas that would need to be worked on to better folk culture educatio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이자겸의 집권 배경과 인종초 이자겸 권력의 공식화 = Foundation of Yi Ja-gyeom's political power and officializing process of his power in the early period of King Injong’s reign | 황향주 | p. 5-53 | ||
고려말 새로운 정무 처결 모델의 등장 = Considerations new political decision model emerges : 공민왕의 報平廳 聽政 | 이현욱 | p. 55-95 | ||
대한제국기 중앙군 병영 배치와 그 정치적 함의 = Arrangements and implications of the central military barracks during the Korean Empire | 이선오, 장규식 | p. 97-133 |
|
|
明萬曆冊封日本使者楊方亨生平小考 = 명 만력시기 일본에 책봉된 사절 양방형의 생애 소고 | 徐成 | p. 135-165 | ||
중국 초등 미술교육과 전통 민속문화 = Chinese primary art education and traditional folk culture :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art textbooks : 미술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경 | p. 167-207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