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태어나 독일 하이델베르크에서 29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숨진 올림피아 풀비아 모라타라는 16세기 여성 인문주의자이자 프로테스탄트 개혁자의 생애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올림피아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긴 편지를 일차 사료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그녀의 삶과 사상의 변화를 추적할 것이다. 올림피아의 자전적 편지는 그녀 자신의 생애를 자세하게 복원하는 사료인 동시에 16세기 여성 개혁자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창이기도 하다.

필자는 두 가지 이유에서 올림피아에게 관심을 가졌다. 첫째로, 올림피아라는 인물 안에서 인문주의 정신과 종교개혁 운동이 하나로 만나기 때문이다. 올림피아의 생애를 복원하여 보면 인문주의자가 어떻게 성서에 천착한 종교개혁자가 될 수 있는지를 보게 된다. ‘성서적 인문주의자’ 올림피아 안에서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의 친화력을 확인하게 된다. 둘째로, 여성 종교개혁자에 관한 관심 때문이다. 여성 개혁자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종교개혁 운동에서 간과됐던 여성의 역할과 참여를 밝힘으로써 종교개혁사 연구에 다양성을 제공하고 종교개혁을 바라보는 시각의 균형을 잡기 위한 노력이라 할 것이다. 더욱이 올림피아 모라타라는 이탈리아 여성은 국내에 거의 소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life of Olympia Fulvia Morata, a 16th-century female humanist and Protestant reformer, born in Ferrara, Italy, and deceased at the young age of 29 in Heidelberg, Germany. I will explore the transformations in her life and thoughts through an analysis of her letters, which vividly capture Olympia’s voice and serve as the primary source. Her autobiographical letters are not only detailed historical documents that reconstruct her life but also provide insight into the mind of a 16th-century female reformer.

I became interested in Olympia for two main reasons. First, she embodies the convergence of humanism and the Reformation movement. By chronicling Olympia’s life, I aim to illustrate how a humanist can evolve into a religious reformer dedicated to the Bible. In Olympia, a “biblical huma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sm and the Reformation is evident. Second, my interest lies in female reformers. Studying female reformers adds diversity to the historical study of the Reformation and balances perspectives by highlighting the roles and contributions of women often overlooked in Reformation history. Additionally, since Olympia Fulvia Morata, an Italian woman, is seldom introduced in Korea, this study holds particular significa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르다투스 논쟁’ 연구 = A study of ‘Cordatus controversy’ : focusing on ‘causa iustificationis’ : ‘causa iustificationis’ 중심으로 권진호 p. 9-35
16세기 여성 인문주의자이자 종교개혁자, 올림피아 모라타의 재발견 = Rediscovering Olympia Morata, a 16th century female humanist and reformer : her life and thoughts focused on her letters : 그녀의 편지를 중심으로 조명한 생애와 사상 박경수 p. 37-63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타마자(John Van Neste Talmage)의 한국선교 연구, 1910-1942 = A study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John V.N. Talmage’s evangelistic work in Korea, 1910-1942 : focusing on indigenous mission and church relations : 토착적 선교와 한국교회 관계를 중심으로 최영근 p. 65-93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가난”의 기여에 대한 성찰 = Reflections on the contributions of Meister Eckhart’s “poverty of the soul” : focusing on German Sermon No. 52 : 독일어 설교 52번을 중심으로 김형근 p. 95-126
신체 지각론에 의한 성 막시무스의 육화 이해 = Understanding the incarnation of saint maximus through the theory of bodily perception : a study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통하여 윤성련 p. 127-159
종교와 과학 학제 간 연구 동향과 실태 파악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 focusing on the cases of IRAS and CASIRAS : IRAS와 CASIRAS 사례를 중심으로 정대경 p. 161-194
김동건의 구원론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Kim Dong-kun’s soteriology : the presentness and the scope of salvation seen through mega history : 거대역사를 통해 본 구원의 현재성과 구원의 범위 정현진 p. 195-222
블로흐의 유토피아사상과 무신론적 희망의 윤리 = A study on Bloch’s utopianism and atheistic ethics of hope 박종균 p. 223-250
담론적 제도주의를 통해 살펴본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 여성총대할당제 연구 = A study on the women’s general quota system of the integrated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rough discursive institutionalis[m] 임평안 p. 251-281
현대사회의 타투와 신앙적 의미 = Tattoo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hristian meaning of tattoo 최성훈 p. 283-301
K-컬처 시대, 3040여성의 기독교적 정체감을 재형성하는 교리교육 = K-culture age, the doctrinal education for reshaping the Christian identity of Korean women in their 30s and 40s 고수진 p. 303-326
인간-생성형 인공지능의 협력 = Human-generative AI collaboration : explor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 예비 종교교사의 학습 경험 탐색 김효숙 p. 327-354
현대 기독교교육에서 여성주의 신학의 교육적 의미 =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eminist theology in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 possibilities for a new reading of Bible : through the exam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by Berg, Moltmann, Moltmann-Wendel : 새로운 성서읽기 가능성 : 베르그와 몰트만, 몰트만-벤델의 성서해석 예시를 통해 안정도 p. 355-386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의 교회론의 교회교육적 적용 = Jürgen Moltmann’s ecclesiology and it’s application to church education 채혁수 p. 387-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