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ngiogenic properties of bioconverted Picrasma quassioides extract (B-P.Q) with those of the non-bioconverted extract (P.Q) and peony root bark extract (BOT). Methods: The research utilized several experimental techniques, including cell viability assays on NIH 3T3 fibroblasts, measurement of NF-κB-related signaling protein activation,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s, tube formation assays, and cell migration inhibition assays using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These methods were employed to evaluate cytotoxicity,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nti-angiogenic properties of the extracts. Results: B-P.Q demonstrated no cytotoxicity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an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NF-κB-related signaling proteins (p-p38, p-Akt-1, p-SAPK/JNK, p-MEK1/2, and p-IκB) compared to P.Q and BOT. In angiogenesis experiments, B-P.Q showed superior inhibition of new blood vessel formation in CAM assays, effectively suppressed tube formation, and significantly inhibited HUVEC migration compared to controls and P.Q.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bioconverted Picrasma quassioides extract (B-P.Q) has strong anti-inflammatory and anti-angiogenic properties, consistently outperforming non-bioconverted P.Q and BOT in various experimental mod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P.Q holds significant promise as a therapeutic agent for chronic inflammatory conditions,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excessive angiogenesis. The research underscores the effectiveness of bioconversion in enhancing the bioactive properties of natural extracts and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developing treatments for inflammatory skin problems.

목적: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소태나무 추출물(B-P.Q)의 항염증 및 신생혈관 억제 특성을 비생물전환 추출물(P.Q) 및 작약 뿌리 추출물(BOT)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NIH 3T3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력 분석, NF-κB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활성화 측정, CAM 분석, 혈관 형성 분석, HUVEC 세포를 이용한 세포 이동 억제 분석 등 다양한 실험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추출물의 세포독성, 항염증 효과, 신생혈관 억제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결과: B-P.Q는 효능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P.Q와 BOT에 비해 NF-κB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p-p38, p-Akt-1, p-SAPK/JNK, p-MEK1/2, p-I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생혈관 실험에서 B-P.Q는 CAM 분석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더우수하게 억제하였고, 대조군과 P.Q에 비해 HUVEC 이동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생물전환된 소태나무 추출물(B-P.Q)이 강력한 항염증 및 혈관신생 억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실험 모델에서 비생물전환 P.Q와 BOT보다 일관되게 우수한 성능을 보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P.Q가 특히 과도한 신생혈관을 동반하는 만성 염증 상태에 대한 개선제로서상당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천연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생물전환의 효과를 강조하며, 염증성 피부 문제에 대한 새로운 피부 개선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플루언서 속성이 브랜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fluencer attitudes on persistent brand engagement : mediating roles of relationship maintenance and purchase intention : 관계지속의도와 제품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정, 강우성 p. 371-382
Anti-acne and tolerance assessment of a cleanser containing salicylic acid, gluconolactone and niacinamide = 살리실산, 글루코노락톤,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한 클렌저 제품의 여드름 방지 및 내약성 평가 Yu Cao, Yunfei Ai p. 383-391
고수 엑소좀의 Tyrosinase와 TRPs 발현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증진 효과 = Melanin synthesis gene inhibition effe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TRPs expression of Coriandrum sativum-derived exosome 박하영, 이선용, 강민호, 박정은, 김진우 p. 393-402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라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Influence of beauty service workers’ communication types on revisit intention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rapport 박선주 p. 403-4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메이크업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Keyword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akeup 김애경 p. 415-425
주름뼈대그물말에 의한 RAW264.7 세포에서의 항염효과 = Anti-inflammatory effect of dictyopteis undulata in RAW 264.7 cells 심중현 p. 427-435
먼셀의 5가지 기본색상에 의한 남성과 여성의 뇌파와 감성반응 = Brainwave and emotional responses of male and females to Munsell’s five primary colors 김민경 p. 437-445
Anti-inflammatory and anti-angiogenic effects of bioconverted Picrasma quassioides extract = 생물전환된 소태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및 신생혈관 억제효과 : NF-κB 신호전달 경로 억제와 신생혈관 억제에 대한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NF-κB signaling pathway inhibition and angiogenesis suppression Kyeong-Seok So, John Hwan Lee, Hanna Oh, Hee-Cheol Kang, Wonsang Seo, Yong-Woo Kim, Seunghee Bae p. 447-461
중년여성 50-60대를 대상으로 도구 모양이 안면 윤곽 축소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ool shape on facial contour reduction i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김현지, 전한성 p. 463-475
라벤더와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친 효과크기 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 size of lavender essential oil and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on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유미나, 김애정 p. 477-490
다알리아(Dahlia)의 품종 및 개화 형태, 수확 시기, 부위별 항산화와 미백효과 =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dahlia based on variety, flowering form, harvest time, and plant part 한채현, 류희욱 p. 49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