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고려 서경팔관회의 시행은 성종 이전에 시행되었음을 현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이를 성종 이전 국왕 친행과 서경 관련 기록을 검토해, 태조 대 시행되었음을 확인했다. 태조는 태봉 팔관회를 계승해 개경팔관회를 시행했고 이후 서경팔관회로 이어졌기에, 검토 시기는 태봉부터 고려 태조까지로 설정했다.
태조 대 개경팔관회는 후삼국 통일을 전후로 의례 형식이, 천도와 궁성의 유 무를 기준으로 의례 공간이 변화했다. 이는 총 다섯 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서경팔관회는 시행 당시 개경팔관회 의례에 준해 설행했을 것이다. 따라서 서경팔관회 시행 상한(서경 궁성의 축조, 922년)과 하한(후삼국 통일, 936년)을 확인한 후, 앞서 분류한 개경팔관회 형식과 비교해 서경팔관회의 의례를 복원했다.
당시 이주민으로 채워진 서경은 후삼국 통일 전쟁과 함께, 서경 도성 건설의 부담도 져야 했다. 서경의 불만은 각종 재이(災異) 현상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서경 사람들의 부담이 발현된 결과였다. 태조는 태봉 철원 도성 조영의 문제를 경험했고, 서경에 부과된 과도한 공부(貢賦) 문제도 인지하고 있었다.
서경팔관회는 정기적으로 설행했던 축제 형식의 국가 의례라는 점에서, 서경 도성 조영으로 인한 불만을 해소하는데 적합했다. 또한 평양으로 이주한 사람들에게 서경이라는 새로운 지역 정체성을 부과했다. 나아가 서경 도성 공역 부담을 완공 이후 경(京) 거주자가 누릴 수 있는 혜택으로 치환했다.
서경팔관회의 특징은 섭행(攝行)으로 설행했던 경우가 많았기에, 태조와 관련된 의례는 제외한 채 백희가무 위주의 축제 의례로 설행했다는 것이다. 권력을 태조에게 집중시켜야 하는 개경팔관회와는 달리 서경팔관회는 서경 사람들을 위무하기 위한 추가적인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이후 양경팔관회의 의례형식이 분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King Taejo succeeded the ritual of Palgwanhoe from Gungye and implemented it in Gaegyong, as well as in Seogyeong later on. In the time between Gungye’s Palgwanhoe and development of Seogyeong’s Palgwanhoe, the ritual itself underwent 5 different change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kings travels and records related to Seogyeong, it was revealed that the Seogyeon’s Palgwanhoe was implemented as early as the reign of King Taejo. Based on this, Seogeyong’s Palgwanhoe would have adopted the form of Gaegyong’s Palgwanhoe held from the 5th year (922) up until 19th year (936) of King Taejo’s reign.
At that time Seogyeong was filled with immigrants, who were all feeling the burden of reunification war of Later Three Kingdom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Seogyeong Fortress. The implementation of Seogyeong’s Palgwanhoe imposed a regional identity on them, and their current burdens were to be replaced with benefits that the people of the capital held, as soon as Seogyeong became a second capital. Seogyeong’s grievances were exposed to be due to the various Calamity’s(災異) phenomena. To deal with such phenomena, the Seogyeong’s Palgwanhoe was conducted and it contributed to resolving of Seogyeong’s grievances.
The characteristic of Seogyeong’s Palgwanhoe was that it was often held by somebody other then the king himself, and that excluding the rituals related to King Taejo, it was performed as a festival ritual focusing on the dance which BaekheeGamoo. This is because, unlike Gaegyeon’s Palgwanhoe where the authority was concentrated on King Taejo, Seogyeong’s Palgwanhoe was held for the people. This difference in purpose of each Palgwanhoe allowed the two rituals to have different individual form in each city.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