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문자를 선호하고 전화를 두려워하는 경향을 사회 불안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세대 차이를 재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화 통화는 문자메시지에 비해 면대면 상호작용에 더 가까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전화 통화를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것은 사회 불안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사회 불안이 높을수록 문자 채널의 특징인 편집가능성과 통제감을 더 선호하게 되고, 따라서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도 증가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리고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의 세대 차이를 문자 통제감 선호와 사회 불안이 설명할 수 있는지도 탐색하였다. 20-59세 성인들(N = 640)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과 경로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은 나이와 부적 관련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분석하면, 20-30대는 40-50대 보다 문자 선호(전화 회피)와 전화 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문자 선호는 문자 채널이 주는 통제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는 사회 불안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나이는 사회 불안 및 문자 통제감 선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즉,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사회 불안이 높고 문자 통제감을 선호하며, 전화를 피하고 두려워하는 경향이 큰 편이었다. 사회 불안과 문자 통제감은 나이가 문자 선호 및 전화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자 선호와 전화 불안을 넘어 문자 통제감 선호와 사회 불안에서도 세대 차이가 발견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통학에서 영역지식과 자료집합의 형성 = Domain knowledge and datasets in communication science : 한국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발전을 위한 제언 이준웅 p. 5-35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 Reflections on 100 years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nd new goals for the future :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 지성사적 관점 이상길 p. 36-95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정서화 = Affective news in social media : KoELECTRA model-based sentiment analysis of tweet messages, article headlines, and leads from the news media : 언론의 트윗메시지와 기사 헤드라인, 리드에 대한 KoELECTRA 모델 기반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이신행, 이주연 p. 96-135
모를 권리는 보편적 커뮤니케이션 권리가 될 수 있는가? = Will the right not to know become a universal communication right? 유용민 p. 136-184
비판적 미디어 문화연구와 지그프리트 크라카우어의 ‘미디어 공간 비평’ = Critical media and cultural studies and Siegfried Kracauer's 'media space critique' 김도연 p. 185-227
MZ는 왜 전화를 두려워하는가? = Why does generation MZ fear phone calls?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 사회 불안의 세대 차이 진보래 p. 228-272

글로컬 시대의 지역방송과 재난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 Rethinking local broadcasting and disasters in the glocal era : an analysis of broadcasting framing of the Cheongju Osong underpass disaster : 청주 오송 지하차도 재난 사고의 방송 보도 프레임 분석 정용복 p. 273-333
컴퓨터의 매체화, 이용자의 객체화 = Computer as a medium and its user as an object : object-oriented programs and inhuman digital culture : 객체지향 프로그램과 비인간 디지털 문화 조동원 p. 334-391

건강불평등과 건강시민권 = Health disparities and health citizenship : focusing on social rights and communication right : 사회권과 소통권의 역할을 중심으로 정의철 p. 392-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