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남해안 해역(경남통영 및 전남여수)에서 그물통발의 망목과 입구크기에 따른 어획성능과 종조성을 분석 및 검토를 위한 해상실험에서 어획된 어류는 1강, 8목, 17과, 23종, 662개체, 99,833 g이었으며, 개체수로 가장 많이 어획된 어종은 붕장어(Conger myriaster)로 301 개체, 45.5%이었으며, 참문어(Octopus vulgaris)로 152 개체 23.0%, 민꽃게(Charybdis japonica) 45 개체로 6.8%,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43 개체로 6.5%, 쌍동가리(Parapercis sexfasciata) 42개체로 6.3%이었다. 전체 어획량에서 개체수로 붕장어, 참문어, 민꽃게, 쏨뱅이, 쌍동가리가 88.1%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기타 어종으로 18종 68개체가 어획되어 전체의 12.5%를 차지하였다. 전체 어획 조사 결과 붕장어의 어획 비율은 B. 22 /280 ㎜에서 50.9%로 가장 높았으며 마리당 평균 전장도 입구둘레 길이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험어구 6종의 각각의 통발에 어획된 합계 중량 기준으로 붕장어, 참문어 및 기타 어종의 어종별 중량 비율을 살펴보면 A. 통발은 66.6%, 26.5%, 6.9%, B. 통발은 57.2%, 24.5%, 18.3%, C. 통발은 43.2%, 31.5%, 25.3%, D. 통발은 7.4%, 56.7%, 35.9%, E. 통발은 43.6%, 0%, 56.4%, F. 통발은 5.0%, 79.6%, 15.4%로 나타났다.
To analyse and review the fishing performance and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rance and mesh of the pot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Tongyeong, Gyeongsangnam-do and Yeosu, Jeollanam-do),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caught one class, eight orders, 17 families, 23 species, 662 fishes, and 99,833 g. The largest number of fish species was Conger myriaster (301 fishes caught) accounting for 45.5%, followed by Octopus vulgaris (152) accounting for 23.0%, Charybdis japonica (45) accounting for 6.8%, Sebastiscus marmoratus (43) accounting for 6.5%, and Parapercis sexfasciata (42) accounting for 6.3%. Conger myriaster, Octopus vulgaris, Charybdis japonica, Sebastiscus marmoratus, and Parapercis sexfasciata accounted for 88.1% of the total catch. For other fish species, 68 fishes of 18 species were caught, accounting for 12.5% of the total. As a result of the total catch survey, the catch rate of Conger myriaster was the highest at 50.9% in B. 22 mm/280 mm. In addition, the average total length per fish increased as the entrance size increased. The weight ratios of Conger myriaster, Octopus vulgaris, and other fish species based on the total weight caught in each pots of the six species of test fishing gear are as follows. A pots 66.6%, 26.5%, 6.9%, B pots 57.2%, 24.5 %, 18.3%, C pots 43.2%, 31.5%, 25.3%, D pots 7.4%, 56.7%, 35.9%, E pots 43.6%, 0%, 56.4%, and F pots 5.0%, 79.6%, 15.4%.*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