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포스트휴머니즘의 ‘신체화 말소’ 경향과 관련하여, 영화 <그녀>와 <아임 유어 맨>은서로 다른 사례를 보여준다. <그녀>에서는 하이퍼 AI 사만다가 체현 없는 기록, 신체없는 정보로서 탈신체화를 보여준다면, <아임 유어 맨>에서는 신체형 AI 톰이 인공신체를 장착하여 신체화가 가능한 포스트휴먼으로 등장한다. 사만다의 탈물질성은 ‘현존/부재’에서 ‘패턴/임의성’으로 옮아간 포스트휴머니즘의 경향을 잘 드러낸다. 사만다는 규범적이고 개념화된 신체만 알 뿐, 맥락 속에 있는 즉흥적인 신체화를 느낄 수는 없다. <그녀>는 인간의 신체가 취약하고 유한한 물질이지만, 신체 없는 정보의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신체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규범적이고 추상적인 ‘기록’과반대로 ‘체현’은 그것이 담긴 매체와 분리될 수 없는데, 로봇은 정보 신체의 재구성, 정보의 인공신체라 할 수 있다. <아임 유어 맨>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톰의 인공신체는 맥락 속에 있으며 따라서 주변 환경에 따른 예화가 일어난다. 이로써 ‘정보의 비물질성과정보과학의 물질성을 이종교배’한 이 새로운 주체는 패턴과 현존이 대립적이지 않고 서로 보완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만다를 통해서는 신체화가 불가능한 인공지능의 한계를, 톰을 통해서는 인공신체를 가진 인공지능이 인간을 완벽하게 대체하는 데 대한 불안감을 두 영화가 각각 그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물과 인간의 관계를 바라보는 중세 문학의 대안적 관점 = Eine alternative Perspektive der mittelalterlichen Literatur auf das Verhältnis von Mensch und Ding : am Beispiel des Tristan von Gottfried von Straßburg : 고트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의 『트리스탄』을 중심으로 이희원 p. 5-23
정신분석과 이야기 = Psychoanalyse und Erzählung : Betrachtungen über das Unheimliche im Hinblick auf die Erzählstruktur von Der Sandmann : 「모래 사나이」의 서사구조를 통해 바라본 정신분석적 해석 김수민 p. 25-48
지폐, “마법종이”의 마법 = Papiergeld, der Zauber der "Zauberblätter" : Zur Urszene der Geldökonomie im zweiten Teil des Faust : 『파우스트』에 담긴 지폐경제의 원초적 장면 박희경 p. 49-73
외된 폰 호르바트의 『누구도 아닌 자』에 나타난 관계의 시학 = Die Poetik der Verhältnisse in Ödön von Horváths Niemand : Im Hinblick auf Wiederholung und Kreisstruktur : 반복과 순환구조에 주목하여 이숙경 p. 75-99
벤야민의 회상 개념과 망각된 시간의 구제 = Walter Benjamins Begriff des Eingedenkens und die Rettung der vergessenen Zeit 최가람 p. 101-125
깊이의 피상성과 그 깊이 = Die Oberflächlichkeit der Tiefe und ihre Tiefe : Patrick Süskinds Zwang zur Tiefe : 파트릭 쥐스킨트의 「깊이에의 강요」 김유동 p. 127-159
역사적 사건, 기억 그리고 소설 = Historische Ereignis, Gedächtnis und Roman : Analyse der narrativen Darstellung der Reichspogromnacht im Roman Der Reisende von U.A. Boschwitz : 보슈비츠의 『여행자 (Der Reisende)』에 나타난 ‘수정의 밤’ 서술 분석 최윤영 p. 161-188
젠더 다양성에서 다원적인 젠더 정체성으로 = Von der Genderdiversität zur vielfältigen Genderidentität : Die Gendervorstellung von Yoko Tawada in Eine Zungengymnastik für die Genderdebatte : 『젠더 논쟁을 위한 혀 체조』를 중심으로 살펴본 다와다 요코의 젠더 관점 정항균 p. 189-215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바라본 정보의 잃어버린 신체와 인공신체 = Die körperlosen Informationen und der künstliche Körper aus der Perspektive des Posthumanismus : Ein Vergleich der Filme Her und Ich bin dein Mensch : 영화 <그녀>와 <아임 유어 맨>을 중심으로 정미경 p. 217-240
웹툰의 다중양식적 감정 구성에 기반한 노년 담론 연구 = Eine Studie über die multimodale Emotionskonstruktion in Webtoons und die Altersdiskurse : basierend auf den Webtoons Wellcome to Silver Life und Undying : 웹툰 <웰캄 투 실버라이프>와 <언다잉>을 중심으로 김근혜 p. 241-265
인지 및 신경 예비능의 개념적 고찰 = Ein konzeptueller Überblick zur kognitiven und neuronalen Reserve : Der Zusammenhang zwischen Bilingualismus und Demenz : 이중언어 사용과 치매의 상관성 김민경 p. 267-288
학술논문 본론의 모형성 분석 = Eine Untersuchung der Musterhaftigkeit von Hauptteilen in wissenschaftlichen Aufsätzen : Aufgrund der Analyse germanistisch-linguistischer Aufsätze im Koreanischen : 독어학 논문을 대상으로 조국현 p. 289-312
라디오 오디오북의 가청성 중심 번역의 특징 = Übersetzungsstrategien von Radio-Audiobooks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Hearability 최경인 p. 313-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