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스에마쓰 야스카즈는 그의 저서 『임나흥망사』를 통해 일본인 역사학자들이 제시한 고대 일본의 한반도 남부 경영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일본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런데 전전에서 전후에 걸친 그의 논의를 면밀히 비교·분석해보면, 4~6세기까지 한반도 남부에 대한 야마토 조정의 통치권 성격과 그 추이에 관한 관점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평가의 근거는 중국 정사에 나타나는 413년 이후 중일교통 기사들이었다. 남조를 상대로 한반도 남부 주요 지역에 대한 일본의 작호 요청을 중심으로 하는 이러한 기사들은 임나의 창성을 보여주며, 임나의 창성을 매개로 중일교통 역시 번성했다는 것이 스에마쓰의 설명이었다. 즉, 야마토 조정의 남선경영은 중일관계의 전제인 것이다. 그런데 그의 이러한 구상은 전전에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남선경영에 대한 스에마쓰의 서술은 시종일관 한반도를 매개로 하는 대륙과 일본의 교통이라는 또 하나의 논의를 기반으로 했다. 그가 제시한 역사상에서 일본의 남선경영은 한반도 남부에 대한 일본의 지배와 오래된 중일교통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녔으며, 이 오래된 중일교통은 일본 사회가 이른 시기부터 대륙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며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었다. 스에마쓰는 이러한 구상을 다이카 개신으로까지 연결하여 고대 일본 사회의 발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임나의 흥망에 대한 자신의 논의를 마무리했다. 이렇게 볼 때 1945년 이후에도 지속되었던 식민주의 역사학이 그려낸 역사상, 특히 스에마쓰의 주요 연구 주제였던 남선경영설의 영향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대 한일관계를 넘어선 시야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