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디드로는 신체와 영혼의 이원론을 통합하는 유물론을 평생 준비했다. 우리는 그의 생리학 저작을 다시 읽으면서 그의 감수성 개념이 어떻게 정지해 있는 물체에서 생명을 가진 존재로 이해하는데 쓰였는지 살펴본다. 『달랑베르의 꿈』에서 디드로는 달랑베르에게 즉각 자신의 유물론을 받아들이게 하지 않는다. 첫째, 그는 달랑베르에게 라이프니츠의 살아있는 힘과 죽은 힘의 개념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한다. 둘째, 물리적 세계의 힘은 생리학적 세계의 감수성으로 전환되고 감수성은 그때까지 영혼이 담당했던 불활성 신체에 생명을 불어넣는 힘으로 인정된다. 셋째, 이제 외부의 자극을 느끼고 이에 반응하는 신체는 디드로가 평생 사용했던 진동현의 비유를 통해 사유하는 존재로 비약한다. 이제 디드로는 진동현을 악기로서의 철학자의 비유로 삼고, 이 철학적 사유가 어떻게 지성을 가진 존재와 공명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이다.
Le matérialisme de Diderot a une longue histoire dans sa vie. Moniste, il unifie le corps et l’âme, depuis longtemps séparés. En relisant ses ouvrages sur la physiologie, nous observons comment la notion de « sensibilité » est utilisée pour illustrer le passage du corps inerte au corps vivant. Dans Le Rêve de d’Alembert , Diderot ne cherche pas à convaincre d’Alembert de son matérialisme. Tout d’abord, il lui fait accepter une modification de la notion de la « force » leibnizienne. Ensuite, il se sert de la comparaison entre la force vive et la sensibilité active pour déplacer d’Alembert de la physique à la physiologie car les principes de la physique ne s’appliquent pas directement aux problèmes de la physiologie. Enfin, à l’aide d’une autre analogie, Diderot passe de l’être sentant à l’être pensant. C’est ici qu’il remet en question l’existence de l’âme en supposant que les impressions, reçues dans les nerfs, les font vibrer. Il explique la transmission de telles impressions en fonction de la vibration des cordes d’un instrument : le son ne se rend pas de façon exacte pour peu que ses cordes soient bien accordée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