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디드로는 신체와 영혼의 이원론을 통합하는 유물론을 평생 준비했다. 우리는 그의 생리학 저작을 다시 읽으면서 그의 감수성 개념이 어떻게 정지해 있는 물체에서 생명을 가진 존재로 이해하는데 쓰였는지 살펴본다. 『달랑베르의 꿈』에서 디드로는 달랑베르에게 즉각 자신의 유물론을 받아들이게 하지 않는다. 첫째, 그는 달랑베르에게 라이프니츠의 살아있는 힘과 죽은 힘의 개념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한다. 둘째, 물리적 세계의 힘은 생리학적 세계의 감수성으로 전환되고 감수성은 그때까지 영혼이 담당했던 불활성 신체에 생명을 불어넣는 힘으로 인정된다. 셋째, 이제 외부의 자극을 느끼고 이에 반응하는 신체는 디드로가 평생 사용했던 진동현의 비유를 통해 사유하는 존재로 비약한다. 이제 디드로는 진동현을 악기로서의 철학자의 비유로 삼고, 이 철학적 사유가 어떻게 지성을 가진 존재와 공명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이다.

Le matérialisme de Diderot a une longue histoire dans sa vie. Moniste, il unifie le corps et l’âme, depuis longtemps séparés. En relisant ses ouvrages sur la physiologie, nous observons comment la notion de « sensibilité » est utilisée pour illustrer le passage du corps inerte au corps vivant. Dans Le Rêve de d’Alembert , Diderot ne cherche pas à convaincre d’Alembert de son matérialisme. Tout d’abord, il lui fait accepter une modification de la notion de la « force » leibnizienne. Ensuite, il se sert de la comparaison entre la force vive et la sensibilité active pour déplacer d’Alembert de la physique à la physiologie car les principes de la physique ne s’appliquent pas directement aux problèmes de la physiologie. Enfin, à l’aide d’une autre analogie, Diderot passe de l’être sentant à l’être pensant. C’est ici qu’il remet en question l’existence de l’âme en supposant que les impressions, reçues dans les nerfs, les font vibrer. Il explique la transmission de telles impressions en fonction de la vibration des cordes d’un instrument : le son ne se rend pas de façon exacte pour peu que ses cordes soient bien accordé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 «infra roman» comme subterfuge narratif, étude sur la mise en scène de la haine de la littérature dans HHhH de Laurent Binet = 서사적 속임수로서의 ‘인프라 소설’ : 로랑 비네의 HHhH에서 나타난 문학에 대한 혐오 연출에 대한 연구 Simon Kim p. 5-23

쥘 쉬페르비엘의 『망각하는 기억』 연구 = Étude sur l’Oublieuse mémoire de Jules Supervielle : fables créées par l’oubli : ‘망각’이 꾸며낸 경이로운 이야기들 김시원 p. 25-67

신 없는 세계, 진실 없는 사실 = Un monde sans Dieu, une réalité sans vérité : une lecture des fabliaux : 파블리오 읽기 문성욱 p. 69-106

바타유의 위반의 시학과 프레베르의 초현실주의 = La poétique de la transgression chez Bataille et le surréalisme de Prévert 오생근 p. 107-138

익숙하고도 낯선 기억의 공간과 형상 = L’espace et la figuration de la mémoire à la fois familiers et inconnus : Image du vert chez Modiano : 모디아노 작품에 나타나는 초록색 이미지 이광진 p. 139-160

Étude sur la sensibilité chez Diderot = 디드로의 감수성 개념 연구 Lee Choong Hoon p. 161-179

공감의 기원, 기원의 공감 = L’origine de la sympathie, la sympathie de l’origine : la théorie de la sympathie de Sophie de Grouchy : 소피 드 그루시의 공감 이론 최요환 p. 181-213

라신느 시학의 근대성 = La poétique moderne de Jean Racine : le cas de Phèdre : 『페드르(Phèdre)』를 중심으로 홍인혜 p. 215-244

한불사전에 제시된 등가어 오류와 수정을 위한 제안 = Analyse des erreurs d’équivalence dans le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 identification et propositions de correction 최지인 p. 273-300

플로베르 작품에서 살펴본 SENTIMENT과 ÉMOTION의 어휘적 지위 = Le statut lexical de SENTIMENT et ÉMOTION dans les œuvres de G. Flaubert 김미현 p. 245-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