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라신느는 흔히 고전 비극의 규칙을 완성한 작가로 여겨진다. 라신느 작품에서 3일치의 법칙은 ‘내적 필요성을 이룬다’고 평가될 만큼 고전 규칙을 능숙하게 다루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고는 라신느가 형식적인 측면에서 시학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한 것과 달리 규칙의 세부적인 적용에서는 융통성을 발휘하였음에 주목한다. 『페드르』가 대표적인 예이다. 고전 규칙은 신분에 걸맞는 품행을 지닌 인물을 창조할 것을 조언하는 반면 라신느는 페드르를 정념과 양식 사이에서 고민하는 인물로 그린다. 그리고 페드르가 정념에 자신을 내맡기는 과정을 그려 결국 정념을 행위의 유일한 주체로 삼기에 이른다. 또한 라신느는 『페드르』가 ‘미덕’을 강조하는 작품임을 밝히면서도 관객들의 감동과 재미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페드르를 재창조한다. 이러한 변화는 모두 라신느 시학의 근대적 면모를 부각한다. 17세기 후반 일반 관객들의 취향과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진실임직한 인물은 자연스러운 감정의 주체가 되는 인물이었으며, 비극의 목표는 교화보다도 즐거움과 감동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고는 『페드르』 분석을 통해 라신느가 어떻게 고전 비극 규칙의 근대적 변주를 이끌어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Nous attribuons souvent à Racine le titre de maître de la tragédie classique, ayant parachevé les règles dites classiques. Il les maîtrise parfaitement, au point que nous estimons que, chez lui, ces règles constituent « une nécessité interne de l’œuvre ». Or, malgré cette fidélité formelle, il semble que, la plume à la main, Racine s’autorise une certaine flexibité assez large dans leur application. Phèdre en serait l’exemple éclatant. Contre la règle des bienséances, Racine condamne Phèdre au déchirement perpétuel entre les mœurs et les passions. De plus, il érige les passions en sujet central de l’action dramatique, Phèdre finissant par succomber à son destin fatal. Bien qu’il souligne dans la préface qu’il s’agit d’une œuvre où la vertu est sans cesse questionnée, il semble que le poète œuvre dans le seul objectif de plaire aux spectateurs et de les émouvoir. Tous ces soins apportés par l’auteur révèlent la modernité de la poétique racinienne, qui cherchait à mieux répondre aux demandes du public de la fin du 17e siècle, pour qui un personnage vraisemblable est celui qui ressent ses sentiments et ses émotions de manière naturelle tout en leur restant fidèle, et pour qui l’objectif de la tragédie est moins l’instruction que le plaisir. L’objectif de cette étude sera, donc, d’analyser comment, dans Phèdre, Racine, poète moderne, réinvente les règles classiques sans pour autant les trahir.*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