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의 자아실현적 관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들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시안구성, 전문가 협의의 과정을 거쳐 목적 및 목표, 프로그램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 9인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17일부터 7월 14일까지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토론활동 및 개별면담 전사본, 연구자 및 연구참여자 저널, 활동지, 프로그램 평가서 등을 통해 원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은 자존감 회복과 낙관성 발휘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교직원에 대한 입장을 이해하고 감사를 느끼며,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료원장과 함께 정서적으로 소통하며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적 안정을 토대로 원장으로서의 자존감을 높이며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들 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자아실현적 행복 증진을 기반으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a happiness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self-fulfilling perspective of the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To this end, a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the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cluding objectives and goals, program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as constructed through a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needs survey, program drafting, and expert consultation. A total of 10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with 9 directors of public daycare centers from May 17 to July 14, 2023. The changes of the director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cripts of discussion activities and individual interviews, journals of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activity sheets, and program evalu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ought overcome difficulties by restoring their self-esteem and maintaining optimism. They also tri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position of the staff, and to empower them appropriately. Finally, they showed positive groth through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their fellow dire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support opportunities for increasing self-esteem as a director based on emotional stability, and to provide a space for exchange among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llowing them to grow together by promoting self-fulfilling happin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 탐색 = Exploring difficulties and supports for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at-risk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최일선, 김영아, 김형미 p. 5-27

국공립어린이집 초임원장의 자아실현적 관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appiness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self-fulfilling perspective of first-time directors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유선영, 전홍주 p. 29-59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정서역량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on their use of strategies to manage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서희경, 배지희 p. 61-8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에의 소셜미디어 활용과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 = Mothers’ social media use in childrearing and it’s associ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김희진, 조혜진 p. 83-103

영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moderating effect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 자기성찰지능의 조절 효과 조민영, 최지영 p. 105-123

유치원 교사의 계승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요구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nd demands for bilingual education 황윤정, 이정은, 김순환 p. 125-155

어린이집 교사의 보육일지에 기초한 놀이지원 양상 분석 = Analysis of aspects of play support based on daily journals of daycare teachers 이정희, 조운주 p. 157-177

어린이집의 합리문화가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r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on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in childcar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 성격특성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소정, 이진화 p. 179-202

이음교육을 위한 유아 기초역량 탐색 =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key competency for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transition education 박은혜, 이성희, 박선혜, 장민영 p. 203-228

유아의 일상생활 속 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제 =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th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하지연, 이승연 p. 229-25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한산섬 p. 255-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