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두 가지 논제로 이중 구성이다. 한 논제는 없는 것에 관한 것이고, 다른 논제는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없는 것은 전자기파 노랑이고, 있는 것은 학문의 정당한기관이어도 좋을 우리 눈이다. 없는 것이 있다고 잘못 믿어져, 학문의 정당한 방법론이 아닌 것이, 인 것을 가릴 수 있었다. 전자기파 노랑의 학문 방법론에 따르자면, 현실은 토대가 있으며, 학문의 과제와 능력은 저 숨은 토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토대철학이다. 순수한 눈의 학문 방법론에 따르면, 현실은 있는 그대로 그 자신의 토대이며, 학문의 소명과 노고는 현실의 모양새와 동선을 충실히 간취하는 데에 있다. 실정철학이다. 실정철학과 토대철학의 대립을 확인한 이 글은 같은 것을, 각각, 노랑의 전자기파와 전자기파 노랑의 대립으로 단순화한다. 규모를 줄이면, 명확하고 단호한 판결이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글의 판결은 전자기파 노랑은 없고, 있는 것은 노랑의 전자기파라는 것. 항시 어디나 있는 것은, 전자기파가 아니라, 노랑이라는 것. 더구나, 전자기파 노랑은 결국 아무 데도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제는 모든 지각과 관찰을생겨나게 하는 것이 틀림없는 우리의 눈에 학문 기관의 존엄을 되돌려주어야 한다는것이다. 언제나 거기 우리와 함께 있었으나 작금 소위 진보의 시대를 당하여 소위 과학적 방법으로 소위 정당하게 교체된, 저 순수한 눈의 방법을 복권한 이 글은 그로써내일의 학문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을 것이다. 오늘 하루분의 일은 여기까지지만, 내일의 학문이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지에 대해, 대강을 밝히고 뼈대를 추려, 쓰지않기가 몹시도 어려웠다. 글이 길어진 이유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자(莊子)철학의 미(美)와 추(醜)에 관한 담론 = Discourse on the concepts of beauty and ugliness in Zhuangzi's philosophy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Socrates' concept of beauty : 소크라테스(Socrates)의 미의 개념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희 p. 5-27

율곡 『순언』에 담긴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성인관 고찰 = A study on the view toward saint of Xiuji-Zhiren (修己治人,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the people) contained in Yulgok's 『Sun-Eon』 김충현 p. 29-61

동진시기 사문 단복에 대한 불교(佛敎)와 명교(名敎)의 인식 고찰 = A study of Buddhist and Confucian perceptions of 'baring the right shoulder' in the Eastern Jin Dynasty : 여산 혜원의 「사문단복론(沙門袒服論)」을 중심으로 김수진 p. 63-83

언시공 민평과 삼계공 민환의 유가 처세론과 효제의 논리 = The Confucian worldview and the logic of filial piety of Unsigong (言尸公) Minpyeong (閔枰) and Samgyegong (三溪公) Minhwan (閔桓) 함영대 p. 85-107

봉우(鳳宇) 연정(硏精)론의 생태학적 상상력 =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Bongwoo's Danhak : focus on mental polishing through breathing : ‘조식호흡’의 단학(丹學)을 중심으로 송석랑 p. 109-132

봉우 권태훈 정신수양론 조식법의 한국전통사상 연계 맥락 연구 = Study on the contextual connection of Bongwoo Kwon Tae-hoon's theory of mind cultivation and Josik method with traditional Korean thought 김창경 p. 133-176

한국철학의 이념형(理念型)으로 본 무슬림과의 교류 = Interaction with Musli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al types in Korean philosophy 김치완 p. 177-211

아리스토텔레스의 색본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istotle's color concept 김요한 p. 213-235

피론학파 회의주의자의 경건 = The piety of the Pyrrhonian skeptic 박승권 p. 237-254

아프락시아 논쟁에 대한 아카데미 학파의 카르네아데스의 방어 논증과 논증 전략 = The argumentative strategy and defensive arguments of Carneades, the founder of the new academy, on the Apraxia charge : in relation to the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action centered on the concept of pithanon : pithanon 개념을 중심으로 한 행위 가능성 탐구와 연관하여 박규철 p. 255-278

칸트 철학의 의사소통이론적 측면에 관한 고찰 = An inquiry into communication-theoretic aspects of Kant's philosophy : focused on the idea of "universal human understanding" and the concept of "impossibility of total error" : “보편적 인간지성”의 이념과 “총체적 오류의 불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 이한균 p. 279-304

존 스튜어트 밀과 사회주의의 관계에 대한 고찰 = On the relation of John Stuart Mill and socialism 강준호 p. 305-328

존 스튜어트 밀의 위해의 원리와 중독 = John Stuart Mill's harm principle and addiction 김은미, 최현철 p. 329-348

위험에 대한 엔지니어의 윤리적 책임 = Ethical responsibility of risk for engineers 윤혜진 p. 349-371

합일의식과 무아 = Unity consciousness and selflessness : Ken Wilber's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integral psychology : 켄 윌버의 통합심리학에서 불교의 이해 김정내, 정세근 p. 373-400

액티비즘의 사상적 뿌리, B.S. 산투스의 남반구 인식론 = Philosophical roots of activism, B.S. Santos's epistemologies of the south 박치완 p. 401-426

사람 눈을 시인에게 배우다 = Learning about the human eye from a poet : a bridgehead for philosophy tomorrow : 내일의 철학을 위한 교두보 한대석 p. 427-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