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의 『가뎡잡지』(1907)와 일본의 『여학잡지』(1885)를 대상으로 두 잡지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가뎡잡지』와 일본의 『여학잡지』의 창간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의 『가뎡잡지』에서 서구의 영향뿐만 아니라 일본『여학잡지』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비교문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한국의 『가뎡잡지』와 일본의 『여학잡지』에 나타난 남성 집필자들의 담론에 관한 여성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내용으로 첫째, 두 잡지의 창간 취지는 ‘가정개량’과 ‘부녀개량’이라는 목적으로 여성을 계몽하였다. 두 잡지의 배경은 기독교사상인 ‘가정’ 이데올로기에 중점을 두었다. 여성들에게 여성 권리 신장보다는 부국강병을 위해 가정을 중시하는 교육을 주입했다. 둘째, 한국의 『가뎡잡지』는 일본 『여학잡지』와의 상관관계에서 ‘신공황후 사상’ 과 ‘신선가정학’, ‘언문일치’의 국문 장려운동에 관한 영향과 수용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두 잡지에 나타난 남성 집필자들의 담론을 분석하여 여성상을 비교해 보았다. 『여학잡지』에서는 일본 여성을 서구의 모델과 혼용하여 ‘열녀 애국주의 어머니상’을 지향했다. 이에 반해 『가뎡잡지』에서는 민족의식의 주체성을 지닌 ‘구국의 어머니’로 ‘근대여성 만들기’에 주력했다. 두 잡지에서 나타나는 여성상(女性像)은 현모(賢母) 사상의 보편성과 한·일 양국이 지향하는 어머니상의 특수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무체법경』의 특징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Muchebeobgyeong(무체법경)』 최천집 p. 5-41
일제강점기 천도교 출판 매체 연구에 대한 통시적 고찰 = A diachronic study on the study of Cheondogyo's publication med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Gaebyeok(開闢)』 : 『開闢(개벽)』을 중심으로 우수영 p. 43-72
동학사상과 시민론(侍民論) = Donghak though[t] and Shi-min theory : a study focusing on new relational perceptions and practices : 새로운 관계론적 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 백진솔 p. 73-151
『동경대전』 「포덕문」 ‘知其無爲而化’ 번역의 새로운 해석 =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ranslation of in "Dongkyeong Daejeon", "Podeokmun", and 'Jigi Muwi Ihwa' 김정만 p. 153-195
역사문화자원으로서 경기도 동학 유적 활용 의미와 방안 고찰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strategies for utilizing Donghak historical sites in Gyeonggi-do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 focusing on Jeongeolon in Yeoju : 여주 전거론을 중심으로 김성하 p. 197-231
함평 지역의 동학 조직과 ‘이고창 사건(이경인 밀고 사건)’ 검토 = A study on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Hampyeong region and the 'Lee Go-chang incident (accusation case by Lee Kyung-in)' 정소영 p. 233-268
아나키즘으로 보는 경남지역 조선농민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osunnongminsa(朝鮮農民社) in the Gyeongnam region viewed through anarchism : focusing on the 1930s : 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소연 p. 269-317
<최고운전> 주제 의식 강화를 위한 전략적 인물 형상화 = <Choi, Go-Won Cheon(崔孤雲傳)> strategic characterization to strengthen subject awareness : with the people around Choi, Chi-won as the center : 최치원 주변 인물을 중심으로 김혜정 p. 319-350
한국과 일본의 ‘근대여성 만들기’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making modern women'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Kadyungjabji』 and 『Jyogakuzashi』 : 『가뎡잡지』와 『여학잡지』를 중심으로 진은경 p. 351-378

대학 교양 문학 수업의 대면과 비대면 강의 방식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 focusing on the creation of haiku class : 하이쿠(俳句) 창작 수업을 중심으로 김활란 p. 379-409
영화 ‘파묘’의 베트남어 자막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patterns of culturemes in the Vietnamese subtitles of the film 'Exhuma' 구본석 p. 411-447
장욱진의 가족 사랑의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hang Uc-Chins's expression of family love : focused on to analysis Chang Uc-Chin's wall painting <Animal Family, 1964> : 장욱진 벽화 <동물 가족, 1964>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동숙 p. 449-489
육근관찰을 활용한 차명상 단회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research to develop a short-term teameditation program with six-senses(cha-indriyāni) observation 김준희 p. 491-518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주 최부자에 대한 대중 인식의 트렌드 분석 = Big data trend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s on the rich Choi family clan from Gyeongju 강성배 p. 519-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