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중앙정부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수도권 과밀화 및 국토의 난개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를 추진하였다. 공공기관의 지역 이전을 통해 건설된 10개의 혁신도시는 경제 활성화, 인구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으나, 아직까지 불확실성과 다양한 외부효과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혁신도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울산 우정혁신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자연적·사회적·경제적·제도적 차원의 도시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응순환계(Adaptive Cycle)와 패나키(Panarchy)를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적 환경은 각각 보존, 재구성, 성장의 적응적 순환 단계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한민국과 울산광역시, 울산 우정혁신도시 간의 상호작용과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울산 우정혁신도시는 중앙정부의 혁신도시 시즌2와 재정적 지원, 장현첨단산업단지건설,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등의 기회를 지역 여건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년주거의 안전 불평등 해소 및 정주성 제고를 위한 주거 욕구 우선순위 탐색 = Exploring the priorities of housing needs to address safety inequality and enhance settlement stability for young adults : focusing on regional discrimination (stigma) or gender difference (deficiency needs) : 지역차별(낙인효과)과 성별(결핍욕구)을 중심으로 김태형, 이지원, 김지연 p. 3-21
청년층 주거불안정 탈피 및 진입의 영향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exiting and entering housing insecurity among young adults 이새롬 p. 23-42
지역 특성이 결혼 및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martial status and childbirth 서정흔, 마강래 p. 43-61
생애주기별 기회로의 이동이 대졸 청년 임금 소득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oving to opportunity across life stages on college graduates' wage performance 최호권, 박인권 p. 75-93

신설 및 이동 제조업체의 입지 결정요인 분석 = Location determinants for newly established and relocated manufacturing firms 이유진 p. 95-108
적응순환계와 패나키의 적용을 통한 혁신도시의 리질리언스 분석 = Analyzing the resilience of innovation c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aptive cycle and panarchy : focusing on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 울산 우정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송, 김충호 p. 109-126

스마트도시 사업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 of smart city projects on the region 심효진, 백효진, 조성수, 임윤택 p. 6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