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김초엽의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를 연구하여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공동체의 형상을 그리는데 목적이 있다. 김초엽의 소설에서 공동체는 비-기원, 책무와 선사, 고유성의 공동체, 열림 공동체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로베르토 에스포지토의 코무니타스와 임무니타스 개념을 통해 나눈 것이다. 임무니타스는 고유성의 공동체와 연관되고 코무니타스는 열림 공동체와 연관된다. 보통의 공동체는 인위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관념을 전체로 확장해 공통의 것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임무니타스적이다. 국가, 민족, 인종, 종교, 이념 등은 공동체의 정체성을 위한 우선적인 요소로 지정된다. 공동체는 저마다 다른 하나의 고유성을 갖는다. 반면 열림의 공동체성은 무(無)의 성격이나 책무, 보답의 성격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공동체가 고유성과 소유성의 바깥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은 빚을 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일부를 언제나 징수해야 하며 그 때문에 항상 자기 자신의 완벽한 주인이 될 수 없다. 이 탈고유화된 공동체야말로 김초엽의 보여주고자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이질적인 것과의 공존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성이 탐문되고 있다. 인간이 단일체의 환상을 넘어설 수 있다면 자연이나 지구와의 공생적 상상력도 더 탄력을 받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