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패션 광고는 현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시각적 표현을 통해 브랜드의 특성을 반영하고, 제품의 미적 가치와 독특성을 높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패션 광고 표현(상품 전시 표현형, 미래 판타지 표현형, 도시 스냅 표현형, 스토리 스틸 표현형)이 소비자 반응(광고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샤넬 브랜드의 광고 사진을 예로 들어, 20-50세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SPSS Ver.27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 결과, 다양한 유형의 패션 광고가 소비자의 광고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소비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현저히 다름을 보여주었다. 또한, 소비자의 광고 태도는 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해당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연구는 패션 광고 표현 유형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다양한 유형의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As a visual communication tool, fashion advertis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brand communication and marketing strategy. It reflects the identity of the brand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and enhances the aesthetic value and uniqueness of the produ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fashion advertising representations (product display style, future fantasy style, movie stills style and city snapshot style) on consumer responses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consumers aged 20-50 years old through online data collection using advertising photos of the Chanel brand as an example. The hypotheses were tested in this study using SPSS Ver.27.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fferent types of fashion advertise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and that this effect varied significantly by consumers' gender and age. In additi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 more positive a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the more likely he or she is to purchase the product. These findings fill a gap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types of future illusion representations and provide a new theoretical basis for how consumers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advertisements.

권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