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영화에서 장소란, 영화의 줄거리에 맞춰 프레임에 등재된 장소를 말한다. 그러나 영화의 장소는 영화 이전에 다른 사람들에 의해 경험되거나 지각되어 고유한 상징성을 이미 지니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경험, 무형과 유형의 장소 개념도 함께 녹여져 있다. 이곳에 영화의 장소가 더하여, 영화의 재현적 장소 체제라는 특별한 만남의 개념이 추가되어 부여된다. 이 혼재된 장소성의 해석을 현재 뉴 웨이브 영화감독 중 대만의 차이밍량 영화 작품을 통해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이론적 근거로 미셀 푸코, 에드워드 랠프, 알라이다 아스만의 이론을 기반으로 새로운 예술 체제의 공간적 장소, 즉 장소성을 밝혀낸다.
In a cinema, a place refers to a place listed in a frame according to the plot of the cinema. However, the place of film has already been experienced or perceived by others before the film and has its own symbolism. In additi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s, intangible and tangible meanings of places are also melted. In addition to the place of the film, a special concept of meeting, called the system of the film's representative place, is added and given. The interpretation of this mixed place is to be dealt with through Taiwanese film director Tsai Ming liang among the current New Wave film directors. And based on the theory of Michel Foucault, Edward Relph, and Alida Asmann as a theoretical basis, the spatial place, or place identity, of the new art system is revealed.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AI 창작 예술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AI creative art : between promptography and photography : Promptography를 중심으로 | 김성하 | p. 7-21 |
|
|
샤넬 패션광고의 유형과 소비자 반응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Chanel fashion advertisement types and consumer response | 나정, 임재문 | p. 23-47 | ||
차이밍량 영화의 장소성 연구 = The placeness in Tsai Ming Liang’s films | 라익권 | p. 49-77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