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초등 2학년의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이야기글 쓰기 능력을 살펴보았다. 이야기글은 척도 점수를 통한 분석과 아동이 작성한 글에 대한 어휘 및 구문 분석을 통해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글쓰기 능력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2학년의 어휘발달지연 아동 15명과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7명이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비언어성 지능이 85 이상이며, 쓰기 과제의 지문을 읽는 데 어려움이 없는 아동을 선정하기 위해 KOLRA의 해독 검사에서 표준점수 85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어휘발달지연 아동은 REVT 검사에서 백분위 10 미만인 아동이며, 일반 아동은 백분위 20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그 외에 아동에게 구문의미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글쓰기 검사는 K-CELF-5의 쓰기 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K-CELF-5의 채점 기준에 따라 척도 점수로 분석했을 때 어휘발달지연 아동은 문장의미완성도, 구문, 문법, 철자 및 응집성 모두에서 또래 아동보다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작성한 총 6개의 문장에 대해 NDW, TNW, T-unit, T-unit 당 평균 낱말 길이, 절 밀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어휘발달지연 아동이 또래 일반 아동보다 수행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어휘지식은 글쓰기 수준을 보여주는 예민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도 어휘발달지연 아동은 어휘가 부족하고 문법적 오류가 빈번하며, 짧고 단순한 문장을 산출하며, 철자 오류도 빈번할 뿐 아니라 제목이나 앞의 문장과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글을 작성하는 능력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휘지식이 부족한 아동에게 초등 저학년 시기부터 쓰기에 초점을 둔 평가와 적절한 중재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언어재활사의 청각장애아동 중재 경험과 요구 = Experience and demand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on the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af or hard of hearing 최은아, 최상배 p. 1-30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발화-수반 제스처 특성 비교 = Characteristics of co-speech gesture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nd without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정부자, 장은별 p. 31-48

양육자 코칭-가정 기반 긍정적 행동 지원(PBS)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 유아 양육자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a caregiver coaching-home base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program 서규원, 이병인 p. 49-75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on the performance accuracy of guided compliance implement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신주원 p. 77-103

특수교육 지원인력의 통합교육 지원 관련 자질과 직무역량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특수교육 지원인력의 인식 = 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of the necessary traits and job competenc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hat are required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고은석, 박지연 p. 105-129

어휘발달지연 아동의 이야기글 쓰기 능력 = The narrative writing in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윤효진, 김보림 p. 131-148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무자의 중도중복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 및 개선방안 탐색 = Experience of practitione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exploring the improvement plan 표윤희, 김정연 p. 149-183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관점 = Mother’s perspective on inclusiv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오재분, 김건희 p. 185-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