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청각장애대본 연구는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국 허난성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대학생 132명을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으로 제시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3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130부의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Bootstrapping 검정,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회적 지지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은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 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대학생들의 학업적 성공과 진로 성취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은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이 사회에 적극적으로 마련할 기반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of Chinese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csisted 130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in Henan Province, China, intentional sampling method was used.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130, with the exception two questionnaires that were submitted as non-respons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ping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data from the 130 copies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aspiration, and social support of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were all higher than usua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affects social support, which affects career aspiration. Futhmore,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career aspirations of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asures to support the academic success and career achievement of dea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영심, 손성화, 한민정 (2020). 비장애대학생의 장애대학생 수용태도가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연구, 15(2), 141-160. | 미소장 |
2 | 권현용, 김현미 (2004). 장애대학생의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서정신과학, 7(2), 43-56. | 미소장 |
3 | 김경주, 송병국 (2011). 청소년 진로포부 영향 요인 구조 분석. 직업교육연구, 30(2), 91-115. | 미소장 |
4 | 김미선 (2012).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 교육권 그 너머. 시각장애연구, 28(4), 97-117. | 미소장 |
5 | 김미선, 박중휘 (2010). 대학에서의 학업지원에 대한 시각장애대학생의 인식과 요구. 시각장애연구, 26(1), 25-41. | 미소장 |
6 | 김성애, 박찬웅, 이해균 (2003).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37(4), 335-357. | 미소장 |
7 |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敎育學硏究, 39(1), 95-123. | 미소장 |
8 | 김연수 (1995),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용준 (2021).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리더십연구, 8(1), 21-42. | 미소장 |
10 | 김정은 (2014).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연구, 9(1), 79-102. | 미소장 |
11 | 김종운, 김지현 (2013).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248-259. | 미소장 |
12 | 김진영, 정원철 (2014). 장애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4(4), 249-275. | 미소장 |
13 | 박용두, 이기학 (2008).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간의 성차 모형 검증: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263-282. | 미소장 |
14 | 박종열 (202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6 | 박해린 (2022).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포부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박희수, 문승연 (2014).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학교생활적응의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28(3), 197-219. | 미소장 |
18 | 석말숙, 강동욱 (2005).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실천, 6(4), 171-194. | 미소장 |
19 | 송건, 정진자 (2019).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 년∼ 2018 년 학술지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35(3), 43-70. | 미소장 |
20 | Wang Dan, 안도희 (2017). 부모의 진로관련 행동과 대학생의 진로탐색 및 진로결정 어려움 간의관계: 진로결정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진로교육연구, 30(1), 201-223. | 미소장 |
21 | 원동윤 (2017).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유지애, 조은애, 이아라 (2019).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973-994. | 미소장 |
23 | 윤현희 (2008).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이순민, 오윤진 (2013). 시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상호작용, 학습지원서비스 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29(1), 69-95. | 미소장 |
25 | 이정애, 최웅용 (2010). 장애 대학생과 비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진로포부 비교. 장애와 고용, 20(2), 55-76. | 미소장 |
26 | 이현주 (2014). 남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애요인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비교. 敎育問題硏究, 27(1), 1-28. | 미소장 |
27 | 전은화 (2013). 대학 신입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기반 연구: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6(3), 103-122. | 미소장 |
28 | 전지영 (2012). 시각장애인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포부 : 자아상의 불일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정미예, 조남근 (2011). 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서 본 대학생의 진로만족 모형. 청소년학연구, 18(10), 295-316. | 미소장 |
30 | 정원원 (2022).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2015).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내적통제, 사회적 지지 및 진로관여행동의 인과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2(1), 209-234. | 미소장 |
32 | 조보람, 이정민 (2019). 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 미소장 |
33 | 조현근 (2016). 중도 시각장애 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1(3), 209-226. | 미소장 |
34 | 최웅용, 윤현희, 이정애 (2009). 장애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영향. 장애와 고용, 19(2), 5-28. | 미소장 |
35 | 함윤정, 김용수 (2015).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4), 235-251. | 미소장 |
36 | 《第二期特殊教育提升计划》 https://www.gov.cn/xinwen/2017-07/28/content_5214071.htm. | 미소장 |
37 | 葛蕾蕾, 保津 (2019). 残疾大学生就业倾向影响因素质性研究. 济南大学学报 (社会科学版), 2. | 미소장 |
38 | 郭文斌, 张梁 (2018). 残疾人职业教育研究热点及发展趋势. 残疾人研究, (3), 57-65. | 미소장 |
39 | 郭学慧 (2021). 听障大学生领悟社会支持, 学业自我效能感与学习投入的关系研究. 辽宁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 미소장 |
40 | 李莹, 马慧莹. (2017). 视障学生高等教育现实问题剖析. 教育现代化, (49),278-279. | 미소장 |
41 | 刘海燕 (2022). 社会支持对高职残疾大学生就业能力的影响: 心理资本的中介作用. 大学, (04),189-192. | 미소장 |
42 | 刘文丽, 雷江华 (2017). 论促进视障职业教育的多元化发展. 现代特殊教育, (20), 53-56. | 미소장 |
43 | 梁纪恒, 王淑荣, 杨义成 (2018). 残疾大学生职业生涯规划问题与对策. 中国成人教育, (15), 104-107. | 미소장 |
44 | 潘威, 何侃 (2016). 残疾人继续教育的发展现状, 问题与发展趋势的思考. 齐齐哈尔师范高等专科学校学报, (2), 22-24. | 미소장 |
45 | 邱建维 (2016). 浅谈盲人按摩从业人员职业教育现状及对策研究. 亚太教育, (18), 148-148. | 미소장 |
46 | 山东省教育厅 (2022). 滨州医学院建构“1+2+2”就业服务体系 助力残疾人大学生高质量就业. http://edu.shandong.gov.cn/art/2022/5/25/art_11972_10300848.html. | 미소장 |
47 | 孙晶华, 艾民 (2013). 我国残障大学生就业难成因及政府责任. 东疆学刊, 30(4), 104-110. | 미소장 |
48 | 王春妍 (2018). 残疾人非学历教育在现代远程教育中现状研究与思考. 环渤海经济瞭望, (3), 181-181. | 미소장 |
49 | 新华社 (2022). 实时生成海量数字盲文,AI帮视障人士无障碍阅读中国大百科. | 미소장 |
50 | 杨萍, 顾丽霞 (2018). 视障大学生创新创业能力的制约因素及对策分析. 中国多媒体与网络教学学报(中旬刊), (11), 58-59. | 미소장 |
51 | 张艳梅, 王凯, 姜琨 (2020). 听障大学生人际信任与父母教养方式的相关研究. 教育教学论坛. | 미소장 |
52 | 中国大百科 (2022). 视障残疾学生高等教育 | 미소장 |
53 | Bandura, 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 | 미소장 |
54 |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 | 미소장 |
55 | Garcia, S. M., Weaver, K., Moskowitz, G. B., & Darley, J. M. (2002). Crowded minds: the implicit bystander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4), 843. | 미소장 |
56 |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 미소장 |
57 | Kim, Y. H., O’Brien, K. M., & Kim, H. (2016). Measuring career aspirations across cultures:Using the career aspiration scale with young Korean wome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4(3), 573-585. | 미소장 |
58 | Lent, R. W., & Brown, S. D.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ntext of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6-21. | 미소장 |
59 | Levitt, M. J., Guacci-Franco, N., & Levitt, J. L. (1994).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e: A multicultural stud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207-222. | 미소장 |
60 | O'Brien, Karen. M. (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3), 257-274. | 미소장 |
61 | Pajares, F., & Schunk, D. H. (2001). Self-beliefs and school success: Self-efficacy,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Perception, 11(2), 239-266. | 미소장 |
62 | Schunk, D. H. (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71-8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