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FAC 3 보행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후향적 연구로, 2023년 7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서울 N 재활병원에서 5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5회, 각 세션 30분씩 총 20회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의학적 특성과 기능적 보행 평가 항목을 사전 평가받고, 프로그램 종료 후 동일한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환자들의 기능적 보행 능력을 유의미하게 개선시켰다. FAC 점수는 3.0에서 3.56으로, 10m WT는 0.43 m/s에서 0.58 m/s로, 6min WT는 132.52 m에서 179.06 m로 증가하였다. TUG 시간은 30.39초에서 23.74초로 감소하였다. 모든 평가 지표(FAC, 10m WT, 6min WT, TUG, SRCAQ, BBS, 5STS, K-ABC, K-MBI)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특히, FAC 4점 도달 비율은 제한된 지역사회 보행군에서 71.4%로, 실내 보행군의 33.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6). 제한된 지역사회 보행군이 실내 보행군보다 중재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이러한 결과는 특정 환자군에 맞춘 보행 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와 필요성을 입증한다. 향후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보행 재활 프로그램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최적의 중재 방법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ustomized FAC 3 walk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52 stroke patients at Seoul N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July 2023 to May 2024. The program consisted of 20 sessions, each of which was 30 minutes long and conducted five times a week.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general med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ambulation indicator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 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abilities. The FAC score increased from 3.0 to 3.56, 10m WT improved from 0.43 m/s to 0.58 m/s, and the 6-minute WT increased from 132.52 m to 179.06 m. TUG time decreased from 30.39 seconds to 23.74 seconds. All evaluation indicators (FAC, 10m WT, 6-minute WT, TUG, SRCAQ, BBS, 5STS, K-ABC, K-MB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Notably, the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FAC 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imited community ambulation group at 71.4% compared to 33.3% in the indoor ambulation group (p=0.006). The limited community ambulation group demonstrated more significant post-intervention improvements than the indoor ambulation group (p〈.05). These result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ailored walking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pecific patient groups. Future studies should aim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across various environments and conditions, as well as assess long-term outcomes. comparative studies of different walking rehabilitation programs are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중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a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in school life 김명숙, 임선아 p. 1-26

장애 청소년의 여가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leisure time on life satisfac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장철승, 조창빈 p. 27-44

다차원 교육 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한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 분석 =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four-dimensional framework 채수정, 박경옥 p. 45-65

중국 청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Chinese deaf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레이, 강영심, 옥혜숙 p. 67-90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의사소통 수행력, 인지보존 능력, 의사소통 파트너 교육 여부 간 상관 연구 = Correlation among cognitive-communication performance, cognitive reserve, and communication partner educa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미숙 p. 93-118

근무 환경에 따른 언어재활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 =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n relation to work environment 민정현, 김정완 p. 119-145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6점 스텝 검사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와 수렴 타당도 = The test retest reliabil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six spot step tes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안승헌, 박창식 p. 147-165

감각식이 가정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추구 행동과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me based sensory diet programs on the sensory seeking behaviors and occupation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최지현, 김경미 p. 167-184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 치료가 주의력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ed intervention on attention and hyperactivity in children with ADHD : focusing on occupational therapy : 작업 치료 분야를 중심으로 김인서, 김나영, 박민나, 박수현, 이유나 p. 185-201

FAC 3 보행 재활 프로그램이 관찰 수준 실내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FAC 3 walking rehabilitation program on functional ambulation in stroke patients capable of supervised indoor walking 김은주, 신준호, 안승헌, 양성필, 신병주, 최수지, 이준민 p. 203-222

소아암 자녀를 사별한 아버지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lives of fathers who have lost children to pediatric cancer 김진선, 고선영 p. 223-248

사회복지 서비스 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성인 발달장애인의 공격행동 중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의 차이 = Differences in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service workers 이혜주, 박경옥, 박남수 p. 249-279

발달장애인의 보건의료서비스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scoping review : 주제범위 문헌고찰 신소연, 황종남, 최슬기, 허종호 p. 28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