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다양한 조건의 배지 성분 및 pH, 배양온도에서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를 배양하여 제주도 넙치 양식장에서 분리된 어류 질병세균 9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Flexibacter maritimus, Staphylococcus caprae,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Photobacterium damselae, Vibrio harveyi, Vibrio campbellii, Vibrio alginolyticus, Vibrio anguillarum가 동정되었다. 어류 질병세균에 대하여 florfenicol이 가장 큰 감수성을 보였고, 다음으로 gentamycin, neomycin이 감수성을 보였다. 또한 penicillin에 대하여 어류 질병세균이 가장 큰 내성을 가졌으며, 다음으로 amoxy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B. amyloliquefaciens JFP-02는 pH 9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은 pH 6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양온도는 30℃에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20℃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배지 성분에 따른 B. amyloliquefaciens JFP-02의 항균 활성은 탄소원 중 dextrin을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 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 중 yeast extract를 첨가 시 가장 높은 생육 활성과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무기염 중 MgSO₄・7H₂O, FeSO₄・7H₂O를 첨가 시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냈지만, 항균 활성 효과는 KH₂PO₄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nhancement of protein aggregate clearance in Huntington’s disease model via CRISPR/dCas9 activation of NAGK and reln genes = CRISPR/dCas9을 통한 NAGK 및 Reln 유전자 활성화에 의한 헌팅턴병 모델에서 단백질 응집체 제거 촉진 Diyah Fatimah Oktaviani, Raju Dash, Sarmin Ummey Habiba, Ho Jin Choi, Yeasmin Akter Munni, Dae-Hyun Seog, Maria Dyah Nur Meinita, Il Soo Moon p. 609-619

Benzene으로 유도한 골수독성에 대한 참당귀 추출물과 커피 생두 추출물의 예방효과 연구 = The preventive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green coffee bean extract on bone marrow toxicity induced by benzene 이은비, 이서경, 황예진, 김현우, 강재선 p. 620-631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의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어류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JFP-02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김동휘, 문영건, 허문수 p. 632-638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장내 유래 Bacillus velezensis F23-72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분석 =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velezensis f23-72 isolated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방우영 p. 639-646

Green synthesis of nanoceria and the mechanism behi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 나노세리아의 친환경 합성과 항균 활성 메커니즘 Maheshkumar Prakash Patil, Yong-Suk Lee, Mi Jeong Jo, Yong Bae Seo, Gun-Do Kim p. 647-655

Natural quercetin derivatives = 천연물질 퀘르세틴 유도체의 다양한 구조 및 효소 저해 활성 : structures and biological activities based on enzyme inhibition Na Rae Kang, Yun Gon Son, Jeong Yoon Kim p. 656-665

TIR 촉매반응에 의해 생성된 소분자들의 식물면역반응에서의 역할 = TIR-catalyzed small molecules : structure and function in plant immunity 배성현, 박상현, 차예림, 전다원, 임가현 p. 666-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