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부모가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팬데믹 위기가 중첩되면서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변화의 경험들이 양육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는지 심층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한부모 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근거이론 방법 중 Charmaz가 제시한 초기 코딩, 초점 코딩, 이론적 코딩 방법을 활용하였다. 초기 코딩에서 173개의 코드를 구성하였고 초점 코딩 단계에서 36개의 범주를 구성하였으며 이론적 코딩 단계에서는 11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범주 간의 관계를 조직화하고 한부모의 경험 중 ‘단독 양육의 어려움 감내하기’ 과정의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한부모의 어려움 경감을 위한 임대주택 재계약 조건 완화, 인권 기반의 가족 다양성 교육, 한부모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복지 지원, 양육콘텐츠 개발, 자립을 위한 자기계발 프로그램 시행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llenges encountered by single parents during the pandemic and examines the resultant changes in their parenting processes. Utilizing grounded theory methods as outlined by Charmaz, including initial coding, focused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 research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14 single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The initial coding phase yielded 173 distinct codes, which were subsequently refined into 36 categories during the focused coding phase. Theoretical coding then synthesized these categories into 11 principal themes. Through this structured analysis, the study constructs a narrative around the experience of managing solo parenting amid the pandemic’s crise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easing the conditions for renewing leases on rental housing, enhancing human rights-based family diversity education, providing financial welfare support for single-parent small business owners, and developing parenting content and self-development programs to foster independe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살 유족 동료지원서비스 제공 경험 = The experiences of providing peer support to family members bereaved by suicide : perspectives of peer support providers : 동료지원 활동가의 관점 김민아, 지현경, 박채림, 한지예 p. 5-37

사회적 배제 변화가 중장년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 성장궤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changes on the growth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박소영, 최송식 p. 39-76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 태도, 자녀 부양 의식,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일-가정 향상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enhanc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child support consciousness, and stress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이미선, 최나연 p. 77-106

다차원적 젠더 이데올로기 유형의 변화 = Changes in multidimensional gender ideologies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ld Values Survey : 세계가치관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선영 p. 107-131

학대피해노인의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만족도와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elder protection agency counseling satisfac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he elderly victims of abuse 김민철 p. 133-159

팬데믹 상황에서의 학령기 한부모의 자녀 양육 과정 = Child-rearing process of single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미숙, 박현선 p. 161-188

30대 남성의 가족관계 경험이 연인 관계 및 이별 후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n romantic relationships and post-breakup maladaptation in a 30’s man : a family therapy case study : 가족치료 사례 분석 문정화, 박태영 p. 189-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