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볼테르는 철학자, 시인, 극작가로서뿐만 아니라 번역가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그의 셰익스피어 번역과 수용은 주목할 만하다. 1726년 영국 체류 중 셰익스피어를 발견한 볼테르는 이후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끊임없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역하고 논평했다.

볼테르의 번역은 ‘부정한 미녀들’의 전형으로서 자주 인용된다. 볼테르는 셰익스피어를 “천재적인 야만인”으로 평가하며 번역 과정에서 그의 작품을 프랑스 고전주의 미학에 맞게 다듬고 순화하고 길들이려 했다. 그는 번역이 원본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러므로 번역자는 직역을 피하고 자유로운 의역의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자는 버리고 원작의 정신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이러한 입장은 당시 계몽주의의 일반적인 번역관, 즉 번역가의 의무는 “생각을 옮기는 것”이라는 인식과 맞닿아 있다.

작품의 유기적 통일성보다는 수용 문화의 기준에 맞춰 외국 작품을 재단하는 이런 번역 관행 밑에는 자국 문화의 우월성에 대한 확신이 깔려 있다. 또한 셰익스피어에 대한 볼테르의 이중적 평가 역시 작용한다. 매혹과 저항 사이에서 흔들리는 그의 평가는 당시 프랑스 문화의 폐쇄성과 새로운 것에 대한 개방성 사이의 긴장을 엿보게 한다.

프랑스어의 영향력이 컸던 18세기 유럽에서, 볼테르의 셰익스피어 번역과 논평은 프랑스의 셰익스피어 수용사에서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 이는 번역이 어떻게 문화적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또한 동시에 새로운 문학적 영향을 소개하는 매개체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Cette étude analyse la traduction de Shakespeare par Voltaire en se concentrant particulièrement sur son interprétation d’Hamlet. Découvrant Shakespeare lors de son séjour en Angleterre, Voltaire n’a cessé, pendant plus de cinq décennies, de traduire, commenter et critiquer les œuvres du dramaturge anglais.

Qualifiant Shakespeare de «génie barbare», Voltaire a adapté son œuvre aux canons de l’esthétique classique française. Sa méthode de traduction, fondée sur le principe de l’impossibilité d’une reproduction fidèle de l’original, s’inscrit dans la conception traductologique des Lumières, qui prône la transmission de l’esprit plutôt que de la lettre. Ainsi, Voltaire concevait la traduction comme une forme d’imitation créative, élevant le rôle du traducteur à celui d’un véritable créateur.

La traduction et l’interprétation de Voltaire ont constitué un jalon important dans la réception de Shakespeare en France. Elles offrent un aperçu de la tension entre le sentiment de supériorité culturelle française et l’ouverture aux nouvelles influences, illustrant comment la traduction peut à la fois refléter et façonner les perceptions culturell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라인 상호작용을 위한 대화상대로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소고 = Réflexion sur le potentiel de ChatGPT en tant qu'interlocuteur pour les interactions en ligne : basée sur les descripteurs d'interaction en ligne du CECR 2021 : 유럽언어공통참조기준 보충판의 온라인 상호작용 능력기술문에 기초하여 윤현 p. 7-36

한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프랑스어 문법 연습문제의 개선 방안 연구 = Une prise en compte de l’exercice grammatical du français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 centrée sur l’article en français : 관사 관련 연습문제를 중심으로 이경수 p. 39-60

Quelle place accorder à ChatGPT dans le cadre d’un cours de conversation de niveau A2? = A2 레벨 회화 수업에서 ChatGPT에 어떤 역할을 부여할 수 있을까? Tuboeuf Nicolas p. 63-88

프랑스어 감정명사 ‘plaisir’의 한국어 대응 표현 연구 = Les constructions du nom d'affect «plaisir» et leurs équivalentes en coréen 신선옥 p. 91-119

유동(流動)하는 어휘들 = Des unités lexicales en mouvement : L’emploi des adjectifs généraux dans la communication médicale : 의료 커뮤니케이션에서 일반 형용사의 활용에 관하여 이현주 p. 123-157

FALLOIR의 의미·양태 연구 및 텍스트 분석 = Sens, valeur modale et analyse textuelle du verbe falloir 이형석 p. 161-195

Sur la notion d’inverse dans la langue française = 프랑스어에서의 반전 개념에 대하여 Blais Antoine p. 199-224

브뤼노 라투르의 비근대적(non-moderne) 허구적 존재들 = Les êtres de fiction non-modernes chez Bruno Latour : de la représentation à la reproduction des protagonistes : 등장인물의 재현에서 재생산으로 김보현 p. 227-265

가스통 르루의 『오페라의 유령』 속 붉은 방에 관한 소고 = Étude sur la chambre rouge dans Le Fantôme de l'Opéra de Gaston Leroux 문미영 p. 269-289

햄릿에게 프랑스어를 말하게 하라 = Faites parler Hamlet en français : Voltaire, traducteur de Shakespeare : 셰익스피어의 번역자 볼테르 선영아 p. 293-309

아이러니로 읽는 『전락』 = Lecture de La Chute à travers l'ironie : Albert Camus et l'identité comme pied-noir : 알베르 카뮈와 피에-누아르 정체성 유치정 p. 313-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