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고등학교 1학년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총 5종의 통합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텍스트를 추출하고, 개별 텍스트에 대하여 2명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가 이독성 수준을 각각 평정한 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 수준 평정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통합사회 교과서 텍스트 추출 및 평정 과정에 참여한 교사 중 4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통해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사회 교과서에 대한 텍스트 이독성 평정 결과, 약 58.62%의 텍스트가 적정 학년 수준(10학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학년 수준보다 높은 텍스트(약 7.38%)보다는 적정 학년 수준보다 낮은 텍스트(약 34%)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중 법이나 경제 영역의 일부 텍스트는 어려운 개념, 어휘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화 형태와 같이 학생들에게 친숙한 구조의 텍스트를 제시한다고 하여 반드시 해당 텍스트를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텍스트의 구조나 구성 방식보다는 텍스트의 내용이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통합사회 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 시 텍스트 이독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사회과의 어휘 관련 교육, 사회과 관련 독서 교육 등 다양한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text readability of first-year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text readability in these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xts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fiv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a pair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independently evaluated the readability level of each text. Next, four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xt extraction and evaluation process were interviewed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text readability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adability evaluation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revealed that about 58.62% of the texts were at the appropriate grade level (10th grade), and there were more texts below the appropriate grade level (about 34%) than above the appropriate grade level (about 7.38%). Second, texts related to law and economics were identified as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students due to complex concepts and difficult terminology. Third, presenting texts in a familiar structure, such as dialogue, did not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read and understan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content of the text, rather than the structure or organization of the text, may have mor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text readability. Fourth, to address readability issue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various pedagogical strategies can be employed, including targeted vocabulary instruction and reading techniques tailored to social studies materia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s of text readability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배화순, 박태준 p. 1-30

국내·외 교원역량 모델 변화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teacher competency models changes 백유하, 한아름, Bailashivili Salome, 정제영 p. 31-54

K대학교 온‧오프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on and offlin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K university : focusing on awarenes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benefits and perception of course diversity : 프로그램 및 참여 혜택 인식, 교과목 다양성 판단을 중심으로 홍주영, 서일보 p. 55-72

정부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에서 교육·돌봄 정책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f education and care policies vis-à-vis the government's plan to reverse the low birth rate trend 지성화 p. 73-93

중등 국어과 교사 대상 교과 직무연수 내용 개발과 요구 분석 = Development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nd analysis of the demands for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 focusing on Gangwon Province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김영란, 이은영 p. 95-118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주체별 FGI를 통한 발전 방안 탐색 = Exploring development strateg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FGIs by stakeholder groups 김정연, 허유성, 표윤희 p. 119-142

이공계열 대학원생의 진학 동기, 연구 참여 경험 및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graduate school students’motivation for pursuing graduate degrees, experiences in research, and career goal 전수빈, 배상훈 p. 143-170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경험과 성과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outcom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최지혜, 이숙향 p. 171-200

교수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타당도와 중요도 탐색 = Developing and refining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research-focused university students : validation and importance study based on faculty’s perspective 이희원, 박종호, 박예정, 길혜지 p. 201-227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자원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n global citizenship through international volunteering experiences 고권혁 p. 229-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