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2025년부터 있을 학교 교육의 변화에 대비해 중등 국어 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안을 개발하여 국어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연구진은 새로운 교육과정 적용과 교육 정책 실행에 대비해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연수주제를 도출하고, 연수주제별로 연수방법(강의, 실습, 적용, 성찰, 실행연구)을 고려한 연수 프로그램안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이 매트릭스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강원도교육청 소속 중등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각 연수주제에 대한‘강의’연수에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고, 중학교 교사들은 [수업 중 작문 지도]의 강의, 실습, 적용 연수에 가장 높은 요구를, 고등학교 교사들은 [독서토론과 글쓰기]의 강의, 실습, 적용, 성찰 연수에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참여형 연수 방법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체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nt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expected to deliver educational changes in schools from 2025 onwards, and to establish a basic foundation for providing tailored training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earch team derived training topics demanded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new curricula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It also developed a training content matrix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raining methods (lectures, practical training, application, reflection, action research) for each training topic. This training content was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Gangwon State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eachers showed an overall high demand for 'lectures' on each training topic.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lectures, practice, and application training for [Writing Instruction in Clas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lectures, practice, application, and reflection training in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Accordingly, a proposal was made on how to materialize the program considering participatory training method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통합사회 교과서의 텍스트 이독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 Teachers' perceptions of text readability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배화순, 박태준 p. 1-30

국내·외 교원역량 모델 변화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teacher competency models changes 백유하, 한아름, Bailashivili Salome, 정제영 p. 31-54

K대학교 온‧오프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on and offlin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K university : focusing on awarenes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benefits and perception of course diversity : 프로그램 및 참여 혜택 인식, 교과목 다양성 판단을 중심으로 홍주영, 서일보 p. 55-72

정부 저출생 추세 반전 대책에서 교육·돌봄 정책에 대한 부모 인식 분석 =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f education and care policies vis-à-vis the government's plan to reverse the low birth rate trend 지성화 p. 73-93

중등 국어과 교사 대상 교과 직무연수 내용 개발과 요구 분석 = Development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nd analysis of the demands for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 focusing on Gangwon Province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김영란, 이은영 p. 95-118

G시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주체별 FGI를 통한 발전 방안 탐색 = Exploring development strateg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FGIs by stakeholder groups 김정연, 허유성, 표윤희 p. 119-142

이공계열 대학원생의 진학 동기, 연구 참여 경험 및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graduate school students’motivation for pursuing graduate degrees, experiences in research, and career goal 전수빈, 배상훈 p. 143-170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경험과 성과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outcom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최지혜, 이숙향 p. 171-200

교수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타당도와 중요도 탐색 = Developing and refining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research-focused university students : validation and importance study based on faculty’s perspective 이희원, 박종호, 박예정, 길혜지 p. 201-227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국제자원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n global citizenship through international volunteering experiences 고권혁 p. 229-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