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2025년부터 있을 학교 교육의 변화에 대비해 중등 국어 교과 직무연수 프로그램안을 개발하여 국어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연구진은 새로운 교육과정 적용과 교육 정책 실행에 대비해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연수주제를 도출하고, 연수주제별로 연수방법(강의, 실습, 적용, 성찰, 실행연구)을 고려한 연수 프로그램안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이 매트릭스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강원도교육청 소속 중등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각 연수주제에 대한‘강의’연수에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를 보였고, 중학교 교사들은 [수업 중 작문 지도]의 강의, 실습, 적용 연수에 가장 높은 요구를, 고등학교 교사들은 [독서토론과 글쓰기]의 강의, 실습, 적용, 성찰 연수에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참여형 연수 방법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구체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nt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expected to deliver educational changes in schools from 2025 onwards, and to establish a basic foundation for providing tailored training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earch team derived training topics demanded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new curricula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It also developed a training content matrix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raining methods (lectures, practical training, application, reflection, action research) for each training topic. This training content was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affiliated with the Gangwon State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eachers showed an overall high demand for 'lectures' on each training topic.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lectures, practice, and application training for [Writing Instruction in Clas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lectures, practice, application, and reflection training in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Accordingly, a proposal was made on how to materialize the program considering participatory training method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