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과 가능성, 향후 과제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주제 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했다. PRISMA-ScR 지침에 따라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출판된 원저 국외 논문을 4개 학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하고, 최종 21건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연구 및 교수설계 동향과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생성형 AI의 역할,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와 교사-학습자를 위한 증거 기반 교육의 실천 방안을 수립하고, 향후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반응성 교수법에 의한 로봇 교육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robot educa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responsive teaching 고윤미, 이경희 p. 1-9

초중등교육에서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 = A scoping review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generative AI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안솔뫼, 이정윤, 박정민, 정소영, 송지훈 p. 11-24

자동 채점 시스템을 활용한 스택과 큐 자료 구조 학습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stack and queues data structure learning materials using online judge system 정상수, 고학능, 이영준 p. 25-35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형 AI기반 학습 지원 아바타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for an AI-powered learning support avatar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이혜란, 김소희 p. 37-47

외부문서 일괄처리 프로그램(EDBP) 적용을 통한 교직원의 업무경감 효과 분석 = Analysis of work reduction effe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external documents batch program(EDBP) 서혜숙 p. 49-56

유아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김남연, 김민정 p. 57-64

생성형 AI를 활용한 평생 학습자와 컴퓨터 전공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 A case study on educational programs for lifelong learners and computer science majors using generative AI 문준성, 김이현, 김예현, 김성백 p. 65-74

초중등교육 디지털 포용 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외 문헌 연구 = Literature review to promote research on digital inclusion in K-12 이희복, 구은정 p. 75-82

Predicting student loan defaults in South Korea using machine learning : insights obtained from SHAP analysis on KOSAF data Doun Jeon, Hansung Kim p. 8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