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조명은 감정적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요소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빛과 조명이 전달하는 감정 을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척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빛과 관련된 인상 깊은 경험을 수집하 고, 각 경험에서 사용된 빛을 묘사하는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47명의 조명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 총 355개의 인상 깊은 조명 경험 예시가 수집되었고, 이 중 142개의 형용사가 추출되어 43개가 평가 기준으로 선정 되었다. 이 기준을 활용해, 23명의 참가자들이 221개의 조명 예시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데이터를 활용한 요인 분석 을 통해 ‘신비로움’, ‘자연스러움’, ‘흥미로움’, ‘고급스러움’, ‘스마트함’의 다섯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척 도는 조명의 다양한 감정적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품 및 공간 디자이너 가 조명을 통해 원하는 감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모션 트래킹을 활용한 무용 교육 인터랙티브 미디어 개발 =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for dance education using motion tracking 곽인상, 주다영 p. 3-14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한 심리 유형 기반 정신병리 예측 = Predicting mental health based on Jungian psychological typology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이상인, 김종완 p. 15-26

Effects of Tai Chi training on attention and physiological changes : an EEG study Moo Sung Cha, Min Jung Gil, Min Ju Kim, Kyung Shik Lim, Jin Gu Kim p. 27-36

마음-신체의 이원론 = Mind-body dualism : health behaviors, plant-based food choice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 건강을 위한 행동, 채식의 선택 및 사회적 가치지향과의 관계 신홍임 p. 37-50

고령자의 연령별 얼굴 정서 차원 = Core affect dimensional structures derived from facial expressions of older adults 김종완 p. 51-60

자발적인 흉강 내압 조정이 전전두엽 뇌기능 변화 및 뇌혈관 역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voluntary intrathoracic pressure adjustments on prefrontal brain function and cerebrovascular dynamics 정주연, 이영배, 강창기 p. 61-70

조명의 스타일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style factors of light and lighting 김병진, 석현정 p. 71-82

휴식용 향과 고농도 산소를 이용한 복합 자극의 효과 = The effects of combined stimulation using relaxation scent and high concentration oxygen : fNIRS study : fNIRS 연구 민병찬 p. 83-88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장애물 회피 전후와 운전자 연령대에 따른 상황인식과 차량통제 차이 = Effects of before-after obstacle avoidance and driver age on situation awareness and vehicle control in automated driving 이재식 p. 89-106

고 사회 불안 성인의 위협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및 전두 영역 Theta-Beta Ratio (TBR) 패턴 = Frontal theta/beta ratio predicts attentional bias to threat in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권나연, 김소연 p. 107-120

정상 발달 아동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분노 표정에 대한 주의 편향 = Attentional bias toward angry face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최윤민, 김소연 p. 12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