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Ferreira, Moura-Ramos, Matos와 Galhardo(2022)가 개발한 외적 및 내적 수치심 척도(External and Internal Shame Scale: EISS)를 한국판으로 번안한 뒤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대학생 중 73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외적 및 내적 수치심 척도(K-EISS)와 관련 질문지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단일 요인이 확인되었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단일 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EISS에서 외적 수치심과 내적 수치심은 2요인으로 변별되지 않았다. K-EISS의 내적 신뢰도는 .89,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4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K-EISS는 관계적 수치심의 외적 수치심 및 내면화된 수치심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불안, 분노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나 공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K-EISS가 다른 수치심 척도들에 비해 불안, 분노, 자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짐으로써 증분타당도도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K-EISS의 치료적 활용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 자살 위험요인 =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 a Delphi study based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 생물심리사회모델에 기반한 델파이 연구 김성연, 이보라, 이주영, 이동훈 p. 715-741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반추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rumination on non-suicidal self-injury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ntrapment : 속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경빈, 박은영 p. 743-763

불안정 애착유형과 SNS정서전염이 간접외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and SNS emotional contagion on indirect trauma : focusing on the 10.29(Itaewon) disaster : 10.29(이태원)참사를 중심으로 최재광, 김해솔, 신은미, 송원영 p. 765-785

도박 이용 경험 청소년의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특징과 개입 방안 =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measures for media use and hazardous environment of youth with gambling experience : using network analysis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곽재석, 이용운, 김하영, 김예나 p. 787-808

노년기 적극적 사교활동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ctive social interaction on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 감정표현불능의 매개효과 조명현 p. 809-836

한국판 Perth 감정표현불능증 척도(Korean-Perth Alexithymia Questionnaire: K-PAQ)의 타당화 연구 =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th Alexithymia Questionnaire (K-PAQ) 조예진 p. 837-860

한국어판 종합형 번영척도(K-CIT) 및 단축형 번영척도(K-BIT)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omprehensive Inventory of Thriving(K-CIT) and Brief Inventory of Thriving(K-BIT) 전승아, 신주연, 심예린 p. 861-888

한국판 외적 및 내적 수치심 척도의 타당화 연구 = Valida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Shame Scale 강민정, 변서영, 조현주 p. 889-908

청소년의 주식·코인 투자 경험이 불법도박행동 및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adolescent's stock and coin investment experience on illegal gambling behavior and problem gambling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gambling attitudes and gambling curiosity : 긍정적 도박 태도 및 도박 호기심의 매개효과 김예나 p. 909-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