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육실습에 참가한 세 명의 중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육실습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교직 적성을 확인하며 교사로서의 소양과 태도를 기르는 실천적 경험을 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가 교육실습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이 예비교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K고등학교에서 4주간 교육실습에 참가한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주제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 주제는 1) 수업 참관 기회의 제한, 2) 수업 실습, 3) 학생들과 관계 맺기, 4) 지도교사의 피드백, 5) 실습 학교의 교육실습 시스템 부재, 6) 힘들고 혼란스러웠던 교육실습 기간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이 예비교사로서 경험한 혼란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수업 참관 및 나눔, 수석교사 수업 컨설팅 및 멘토링, 실습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지도교사 매칭 등 질적으로 보장된 교육실습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n the practicum experience of student teachers in high school 박은진 p. 7-33

주거복지시설 거주 초고령 노인의 좋은 죽음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f good deaths of oldest old in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한경아, 이선형 p. 35-60

미메시스 관점에서의 내러티브 정체성 = Narrative identity from a mimesis perspective : focusing on career constructivism : 진로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정주원 p. 61-78

내러티브와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통합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narrative and concept-based curriculum : focusing o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 중학교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전순정 p. 79-97

한국 교육학의 새로운 담론으로서 내러티브 교육학의 구성 = In search of narrative educational science as a new discourse in Korean society 강현석, 노진규 p. 99-129

‘시험인간’의 달리기는 어떻게 계속되는가? = What keeps 'test-takers' running?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heavily involved' in shadow education : ‘주도적’으로 사교육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남유진 p. 131-156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실질적인 편성·운영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practical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rough critical consideration of 'school-designed autonomous hours' 김홍일, 이지은 p. 157-183

IB MYP 공동체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 = Exploring ways to support IB MYP community project activities : focusing on regional linkag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도시재생실천 지역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김필성 p. 185-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