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하중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연성 기반 폭발 손상 평가 = Assessment of ductility demand-based blast damage to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blast loads
|
김예은, 이기학, 신지욱
|
p. 1-10
|
|
|
|
드론 RTK 정확성 검토를 통한 하천측량 시 GPS-Base 대체 가능성 분석 = Accuracy analysis of real-time kinematic drones as a replacement for GPS bases in river surveying
|
황성현, 이태삼, 안동원, 이세정
|
p. 11-17
|
|
|
|
최근접 이웃 탐색 기법을 활용한 일 단위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시간 단위 상세화 기법 = Hourly downscaling of daily climate projection data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the nearest neighbor search method : 낙동강 유역 사례 연구
|
이태우, 김수전, 이준형, 강나래, 윤정수, 황석환
|
p. 19-28
|
|
|
|
전기차 충전소 화재 사고 대응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enhanced computer vision-based monitoring technology to respond to fire accidents at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
김지효, 정대교, 박민수, 박승희
|
p. 29-35
|
|
|
|
미래 재난의 대응을 위한 시민안전의식 영향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citizen's safety consciousness for responding to future disasters
|
손휘진, 김희종, 마영일, 배경완, 윤영배
|
p. 37-43
|
|
|
|
복합사고 경감을 위한 안전사업지구 선정지표 및 가중치 개발 = Developing safety project district selection indicators to reduce complex accidents
|
신진동, 손지현, 이향이, 유나겸, 김윤태
|
p. 45-55
|
|
|
|
전국 급경사지 실태조사 결과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연구 = Analysis of nationwide steep slope survey results for the proposal of improvement measures in Korea
|
최정렬, 곽재환, 김영환, 이문세, 이상원
|
p. 57-69
|
|
|
|
방열보호복의 중간층 원단 조직 구성 변화에 따른 열방호 성능평가 실험연구 =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structural composition changes of the intermediate-layer fabric in thermal protective clothing
|
노호성, 최돈묵
|
p. 71-78
|
|
|
|
전통시장의 화재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improving fire safety in traditional markets
|
이강민, 곽대훈, 고왕열
|
p. 79-90
|
|
|
|
학교 급식실 소형 LPG 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위험성 분석 = Risk analysis of small LPG storage tank explosion in the school cafeteria
|
전승덕, 이재영, 공하성
|
p. 91-101
|
|
|
|
LIT 거더의 철도교량 동적특성에 관한 연구 = Dynamic characteristics of LIT girder railway bridges
|
안종국, 김성, 박승진
|
p. 103-109
|
|
|
|
노후설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내용연수 개선방안 연구 = Improvement plan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old facilities
|
이병도, 양원직
|
p. 111-124
|
|
|
|
단부감소형 프리플렉스 거더 개발에 관한 연구 = Development of end-reduced pre-flex girder
|
안종국, 김성, 박승진
|
p. 125-130
|
|
|
|
장지간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변형실측을 통한 뒤채움재 적용성 평가 = An evaluation of backfill material applicability through deformation measurements of long-span buried corrugated steel structures
|
박상훈
|
p. 131-138
|
|
|
|
학교 기숙사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 = Evaluation of fire and evacuation safety in school dormitories
|
전승덕, 이재영, 공하성
|
p. 139-149
|
|
|
|
유효응력 해석법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지역 액상화 평가 = Analysis of liquefaction susceptibility in the Nakdonggang delta region via effective stress analysis
|
조광우, 오준수, 정석호
|
p. 151-163
|
|
|
|
지역 특성 반영 지진화재위험도 평가를 위한 위험지표 개발 = Development of risk indicator incorpora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fire-following earthquake risk assessment
|
강태욱, 강재도, 이기학, 김혜원, 신지욱
|
p. 165-172
|
|
|
|
D-P-S-I-R 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폭염 취약성 분석 = Heat wave vulnerability in Korea : an analysis using D-P-S-I-R techniques
|
이형주, 장현빈, 한재형, 정건희
|
p. 173-184
|
|
|
|
머신러닝기반의 연안 복합홍수위산정 모형을 이용한 계획홍수위 검토에 관한 연구 = Evaluating design flood levels using a machine learning-based costal compound flood level model
|
김경훈, 백선욱, 김덕길, 김형수
|
p. 185-194
|
|
|
|
북한 황강댐 영향을 고려한 임진강의 용수부족량 산정 = An estimation of water deficits considering the Hwanggang Dams on the Imjin River, North Korea
|
김덕길, 곽재원, 이태우, 홍승진, 김수전, 김형수
|
p. 195-205
|
|
|
|
인공계 물순환을 고려한 유역 자연유출량 모의 = Natural flow simulation in a baisin considering artificial water cycle
|
최시중, 최윤석
|
p. 207-216
|
|
|
|
태화강 유역의 연안 복합홍수 발생기준 산정에 관한 연구 = Estimating a coastal compound flood standard for the Taehwa River basin
|
김경훈, 이태우, 김형수
|
p. 217-230
|
|
|
|
자연하천의 드론영상 활용 홍수관리 데이터 취득과 수리특성 분석 =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acquisition of flood management data using D-HSI in natural streams
|
김시철, 이종석
|
p. 231-238
|
|
|
|
토지피복과 건물 유무를 고려한 돌발 홍수에 대한 FLUMEN 및 HEC-RAS 2D 모형 비교 = Comparison of FLUMEN and HEC-RAS 2D models for flash-flood inundation considering land cover and building presence
|
정찬진, 제갈선동, 김동현, 이승오
|
p. 239-247
|
|
|
|
OpenGeoSys를 이용한 해안 지역에서의 농업용 관정 이용가능성 평가 = Assessment of well location for agricultural water use in coastal areas using OpenGeoSys
|
이현중, 이승오
|
p. 249-256
|
|
|
|
해안 침수로 인한 산업 시설의 직·간접 피해 추정 = Estimating direct and indirect damage to industrial facilities from coastal flooding : case of Ulsan, Korea :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
최미희, 김민정
|
p. 257-265
|
|
|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 대피시간 및 대피가능 범위 산정 = Estimating evacuation distance, time, and range to shelters through network analysis
|
이경근, 김태형, 정혁상, 김병현
|
p. 267-27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