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생태계를 보호하고 생태계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지불제(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PES 시행과 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필요한 생태계 모니터링과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항습지에서 시행 중인 PES의 효과를 분석하여 서식지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때 이동성 조류 모니터링과 주요 종의 먹이원을 분석하였다. 장항습지에서 관찰된 우점 조류로는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쇠기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의 주요 먹이원은 참새귀리, 개보리 등의 벼과 식물과 속속이풀 등 십자화과 식물로 분석되었다. 또한 PES를 통해 장항습지 내에서 볍씨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두루미, 큰기러기, 쇠기러기 등의 조류가 이를 이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장항습지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먹이 공급 시스템 개선과 재두루미 및 기러기류(큰기러기, 쇠기러기)에 대한 분산 공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때, 농업 및 개발 지역과의 경계를 관리하여 생태적 연결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성 조류의 서식지로서 장항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결과는 향후 정책 수립과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갖는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데이터 구성에 따른 하천 조류 예측 딥러닝 모형 (TabPFN) 성능 비교 =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a deep learning model (TabPFN) for predicting river algal blooms with varying data composition 양현석, 박정수 p. 197-203

국내외 주요 산불위험지수의 국내 적용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rest fire indices : a case study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 태백산맥 동쪽 지역을 대상으로 마정혁, 유철상 p. 204-218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 도입 후 조류 먹이원 분석 및 관리 방안 = The analysis of avian feed source and management direc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 a case study of Janghang wetland in Goyang : 고양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최현아, 김은정, 이은정, 정인숙, 한동욱 p. 219-226

내륙습지 총량관리제도의 고찰 및 도입 방안 제안 = Review of no net loss(NLL) of wetland and suggestion of appropriate NLL in Korea 강유진, 이준형, 이태우, 김덕길, 서재승, 김수전, 김형수 p. 227-235

자유수면을 갖는 2단 와류 수차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two-stage vortex turbine with a free water surface 김종우, 최인호, 정기수 p. 236-244

머신러닝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 수문-기상인자 조류 예보체계 연구 = A study on algal bloom forecast system based on hydro-meteorological factors in the mai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machine learning 이태우, 김수전, 이준형, 김경훈, 이호용, 김덕길 p. 245-253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와 관리방안 = The changes in vascular plants and management plan for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이준혁, 이정은, 변준기, 안종빈, 김호진, 윤충원 p. 254-265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기반의 e-SOP 시스템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e-SOP system based on one-site action manual of local government 김덕길, 김유리, 장대원, 김연수 p. 266-271

인공습지 설계를 위한 여재 아세트아미노펜 흡착능 실험 = Research on adsorption capacity of acetaminophen for constructed wetland design 홍진, 김유현, 길경익 p. 272-278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반의 저수지 위험판단 의사결정지원 방안 연구 = A study of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based on system dynamics for reservoir risk judgment 김덕길, 유지성, 장하영, 장대원 p. 279-284

김포한강신도시 주변 논 습지에 도래하는 월동 조류의 서식처 보전대책 =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for wintering birds in the rice fields near Gimpo-Hangang New Town 심설웅, 주영돈, 배정훈, 배양섭 p. 285-297

농경지 생태계 유형별 토양의 탄소 저장량과 토양호흡량 비교 및 토양환경요인과의 관계 = Comparison of soil carbon storage and soil respiration among agricultural ecosystems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oil environmental factors 이응필, 정헌모, 강성룡, 장인영 p. 298-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