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독립 전후 인도어와 문학의 대전환을 고찰하고, 민족어가 국어로, 민족문학이 인도 국문학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변화를 가능하게 한 원인인 담론을 분석하여 현재의 언어와 문학 상황을 해석하는 틀로 삼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언어와 문학의 상황에도 적용이 되는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을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도의 언어 현황과 작가의 문학적 개념, 문학 기관과 문학상의 제정 과정을 추적하며 민족어와 국어, 민족문학과 인도 국문학의 형성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언어와 문학이 경계선이 되기도 하고, 경계를 넘어 화합을 이루는 장이 될 수 있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언어사회인 인도에서 언어가 도구화되어 인도를 경계 짓고, 이러한 경계를 넘어 화합이라는 가치를 문학 공간에서 어떻게 구현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시각도 함께 논의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도어문학의 대전환 = The transition of Indian language literature : opening horizons from jāti to rāṣṭra : 민족(jāti)에서 국가(rāṣṭra)로 지평 열기 김용정, 고태진 p. 1-26

모디 정부 하의 인도-미국 관계 변화 및 외교전략 분석 (2014~2024) = India-U.S. relations under the Modi Government (2014-2024) 박혜성, 지연정 p. 27-61

인도의 대전환과 새로운 계급 부상 = India’s great transition and new emerging clas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importance of the aspiring neo middle class : 신중간계급 열망 계층의 성격 및 정치적 중요성을 중심으로 상연진 p. 63-86

대전환에 대응하는 사회적 혁신 = Social innovation in Great transition : focusing on the major challenges and responses in Indian social innovation research : 인도 사회적 혁신 연구의 주요 과제와 대응을 중심으로 신진영 p. 87-110

요가의 대전환 = The great transition in yoga : the neo-liberal transformation of modern yoga in India : 인도 현대요가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심준보 p. 111-131

인도 디지털 대전환 요인과 디지털 관련산업의 성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of digital great transformation and the growth of digital-related industries in India 이지은 p. 133-162

인도어의 대전환 = The great transition of Indian languages : analysis of the multilingual phenomenon in the internet space : 인터넷 공간에서의 다언어 현상 분석 이지현 p. 163-186

국가 통합을 위한 인도 사상의 대전환 = The great transition in Indian thought for national integration 최지연 p. 187-208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 Great transition in India : a Korean perspective on Indian studies 김찬완, 김한상, 이동원, 구하원 p. 209-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