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질문 답변, 문서 작성을 넘어 의학, 법학, 예술 창작 영역에도 들어서며 빠른 변화를 불러왔다. 로우테크 아트로 분류되는 무용 영역에 등장함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창작물을 대면하는 중이다.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무용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무용 창작자 웨인 맥그리거의 작품과 사용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작품 창작의 주체성과 저작권, 책임 여부를 파악하고자 국내외 학술지 자료와 기사를 토대로 문헌 연구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인공지능 춤에서 나타난 창작성의 문제를 세 가지 논의로 정리한다. 첫째, 인공지능을 통해 만들어진 춤의 경우 창작 주체로서의 선택이나 기술적 구현 방식, 저작물의 완성, 수용 방식의 관여도에서 인공지능을 주체로 인정하기에 어려웠다. 둘째, 인공지능 춤은 창작적 표현의 결과물로 승인이 어렵고, 독자적인 창작물이 아니기에 저작권 권리 인정은 불가했다. 마지막으로 자율성이나 자유의지를 가지지 않은 인공지능은 책임의 여부에서 벗어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창작자로서 인공지능의 지위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지금까지 인공지능으로 창작된 춤의 주체성과 저작 권리, 책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인공지능과 함께한 예술의 방향성에 대해 천착하고, 무용창작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사용 목적을 명확하게 정초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자 포정해우의 체육적 함의 = Physical education implications of Zhuangzi's story of butcher's cutting cow 이학준 p. 1-10

체육교육에서 듀이 경험철학의 새로운 접근 가능성 = A new approach to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in the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황인규, 신명섭, 권오륜 p. 11-26

초월적 페어플레이 ‘자인(自認)행동’의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s of transcendental fair play 'acknowledgment action'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김도형 p. 27-40

사회트렌드와 스포츠 = Social trends and sports. 2, Health polarization and sports. 2, 건강양극화와 스포츠 김영갑 p. 41-51

활쏘기의 예(禮)에 관한 철학적 고찰 =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propriety of traditional archery 김정효, 강윤신, 권오륜 p. 53-66

무용을 배운 기계 = The machine who learned dance : the subjects and responsibilities of creation : 창작의 주체와 책임 김미진 p. 67-79

댄스스포츠 남녀커플의 시선과 상호작용 = The gazes and interactions in dance sport couples : focusing on Sartre's concept of Néantisation : 사르트르의 무화작용을 중심으로 김소정, 이경숙 p. 81-94

메를로-퐁티의 현상학 =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2, Dance sport in verbal gestures. 2, 언어적 몸짓에서 본 댄스스포츠 이경숙 p. 95-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