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국내와 국외의 관련 연구물에서 제시된 통일성과 응집성의 정의 및 관계,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증적 글쓰기 채점에서 통일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요소에 주목해야 하는지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검토 방법을 통해 국내외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문헌 검토 결과,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둘의 관계를 규정하는 관점 역시 다양하나 둘 사이의 관련성은 여러 연구가 대체로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일성의 평가 요소로는 응집성, 어휘 요소 간의 의미 연결,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내용의 통일, 논리적 구성, 생각의 흐름 등 다양한 요소들이 제시되었다. 다만, 응집성 요소와 통일성 및 텍스트 수준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하므로 응집성 요소의 사용을 통일성 평가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흐름, 통일, 일관성, 응집성을 논증적 글쓰기 채점에서의 통일성 평가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쓰기 평가의 정교화와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쓰기 역량 측정과 쓰기 발달 예측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피드포워드 기반 협력적 쓰기 AI 도구 개발 제언 = Proposal for development of feedforward-based collaborative writing AI tool 문지유, 박소연, 장지영, 권순희 p. 7-50

도구 교과로서의 역할을 고려한 표현론적 관점에서의 학문 문식성 구체화 방향 탐색 = Disciplinary literacy as production considering the role of an instrumental subject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argumentative tasks for essay evaluation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수능 서·논술형 문항 설계를 위한 논증 과제 분류를 중심으로 장성민 p. 51-90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서 학생 필자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기능어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function words in self-expressive writing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writers 이슬기 p. 91-136

논증적 글쓰기 평가의 문법 영역 고찰 = A study on grammar in argumentative writing evaluation 최소영, 김민지, 한지수, 이승희 p. 137-182

논증적 글쓰기 평가의 텍스트 영역 고찰 = Exploring textual features in assessing argumentative writing : a focus on coherence : 통일성을 중심으로 김혜영, 이상훈, 신현규, 김미주, 곽수범 p. 183-227

논문 작성에서 창의성 시도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process of creative endeavors in dissertation writing : focusing on the field of literacy education : 리터러시 교육 분야 박사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유상희, 민병곤 p. 229-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