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양 수업에서 비전공 학생들도 시 창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시가 치유의 효과까지 얻게 하기 위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공이 다른 대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진행한 시 쓰기 수업의 결과물이다. 대학생 전공을 불문하고 학생 대다수는 오랜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처음부터 시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인의 의도 찾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시는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어야 관심이 생기고 창의적인 표현 방법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된다. 이에 필자는 학생들의 시 쓰기 과제로 ‘창작시’와 ‘기존 시 베끼기’라는 두 가지 방식을 자유롭게 열어두고 학생들이 창작시를 더 선호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리고 학기가 끝난 후에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이 시를 대하는 자세 변화와 창작시를 통해 얻은 치유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의 교양과목으로 진행하는 시 수업에서 전혀 관심이 없는 학생들이 시에 관심을 갖고 흥미를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가 자신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자기를 편하게 드러내는 수단이 되어야 하며, 교수자와의 공감대 형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00년대 서정시의 전개와 도시 표상 = The development of lyric poetry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city in the 2000s : centering on the poetry of Sin Yongmok : 신용목의 시를 중심으로 김중일 p. 11-36

대학생 시 쓰기 교육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oetry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임봄 p. 37-64

황인숙 시의 창작원리 = The creation principles of Hwang Insook's poetry : focusing on the changing aspect of poetry and the creation motive : 전후기 시의 변모양상과 시적 동인을 중심으로 김영주 p. 65-94

강성은 시에서 ‘타자’와 ‘환상’을 형상화하는 색채 이미지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images that embody 'other' and 'fantasy' in Kang Seongeun's poetry : focused on the poem collection, I fell asleep wearing shoes : 시집 『구두를 신고 잠이 들었다』를 중심으로 김선우 p. 95-129

전병순의 작가적 생애와 소설세계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life and novels of Jeon Byungsoon : focused on the writing of women novelist and figures of female subject : 여성 작가의 글쓰기와 여성 주체 형상을 중심으로 정미선 p. 131-163

5·18 역사동화에 나타난 어린이 공동체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children's community meaning in the historical fairy tale of 5·18 안점옥 p. 165-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