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귀신담의 수집이라는 관점에서 조선후기 유서(類書)류에 실린 귀신 항목들을 살피고, 여기에 담겨 있는 귀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백과전서(百科全書)식으로 서술되어 여러 분야의 지식을 주제별로 망라하는 유서류가 등장하는데, 『지봉유설(芝峰類說)』, 『유원총보(類苑叢寶)』, 『성호사설(星湖僿說)』,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등에는 귀신 소재를 다루는 항목들이 다수 실려 있다. 대체로 이전 문헌으로부터의 전재를 포함하여 귀신의 사례를 수집한 것, 기록자 주변의 체험과 견문을 기록한 것, 이전 시기부터 축적된 귀신론을 정리하고 해석하거나 견해를 제시한 것 등이 주요 유형을 차지하며, 이는 항목 내에 혼재되어 있기도 하다. 문헌 자료 외에 풍속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에서 중국과 조선의 사례를 반영하고, 유서 간의 영향 관계로 반복적이거나 공통적인 소재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았던 화제나 사건을 다루는 등 당시까지의 귀신담을 채록·수집하여 축적하는 경향이 있다. 유서류에서는 조선전기로부터 이어진 귀신 담론을 이어받으면서도 귀신의 구체적 사례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귀신인식의 측면에서, 유서류에서는 귀신론 이해 국면에서의 귀신 해석, 귀신으로 인한 현실적 피해와 그 대응, 귀괴(鬼怪)에 대한 관심과 괴이성(怪異性)의 정리 등의 특징적인 지점을 볼 수 있다. 유서류의 귀신담들은 필기, 야담류를 비롯하여 조선후기의 귀신담의 전모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석전 박한영의 인문정신 = Seokjeon Park Han-young's humanistic spirit 김광식 p. 11-49

박한영의 불교사 강의와 한국 불교사 이해 = Bak Hanyeong's understanding of Buddhist history and Korean Buddhist history : the Gakjong gangyo and the Bulgyosa ramyo : 『각종강요』와 『불교사람요』 김용태 p. 51-85

송광사 소장 『간독(簡牘)』을 통해 본 임제종운동의 성격 조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ji order movement through Gandok (簡牘) in Songgwangsa : focusing on Seokjeon (石顚) Park Han-yeong's(朴漢永) view of the temple ordinance : 석전(石顚) 박한영(朴漢永)의 사찰령 인식을 중심으로 김성연 p. 87-121

석전 박한영의 심성론과 학리불교 = Seokjeon Park Han-yeong's theory of mind and rational Buddhism 김영진 p. 123-161

석전의 선학 이해에 대한 고찰 = Consideration on Seokjeon's understanding of Zen Doctrine 김호귀 p. 163-194

「석전 박한영 전서」 편찬의 구도와 방향 = Organization and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he Seokjeon Park Han-young 김종진 p. 195-233

송당(松堂) 조준(趙浚)의 한시에 나타난 『논어(論語)』 수용과 그 의미 = The reception and its mean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Song-dang (松堂) Jo-Jun (趙浚)'s Sino-Korean poetry 황명환 p. 237-276

홍애(洪厓) 이기원(李箕元)의 「농서대(農書對)」를 통해 본 경세 의식과 그 의미 = Th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its meaning through 「Nongseodae」 of Hongae Lee Ki-won 손혜리 p. 277-307

조선후기 유서(類書)류의 귀신담 연구 = A study on ghost stories in the classical encyclopedias(類書) of the late Joseon Dynasty 이주영 p. 309-356

제주4·3에 대한 전승과 ‘숭시[凶事]’ = The tradition of Jeju 4·3 Incident and ‘Soongsi(凶事)’ 박상란 p. 357-393

성(性) 중심으로 재편성된 2000년대 등장 <심청전> 이본의 의미 = The meaning of 2000s' Simcheongjeon versions focusing on gender 강지영 p. 395-421

김수영의 연극 관련 행적 재검토 = Reconsider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Kim Soo-young : in relation to the Haruki Mizushina Theatre Research Institute : 미즈시나 하루키 연극연구소와 관련하여 김봉재 p. 425-459

1940년대 후반 우익문인단체들의 언론활동 = Press activities of right-wing literary groups in the late 1940s 박용규 p. 461-510

전후 조선학의 한 풍경 = A scene from post-war Chosun research : Lee Kwang-soo from the view of Japanese Chosunology researchers : 일본 조선학 연구자들이 바라본 이광수 표상 허병식 p. 511-544

주요섭 작 「KIM YUSIN」과 『The Forest of White Cock』 연구 = A study on KIM YUSIN and The Forest of White Cock by Yo-Sup Chu 김병길 p. 545-574

역사 없는 시대의 대체역사 = Alternate histories in the age of the end of history : capitalist realism in Korean web novels : 한국 웹소설 ‘대체역사물’에 나타난 자본주의 리얼리즘 유인혁 p. 575-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