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개념기반 탐구학습 모형에 기반한 간학문적 통합단원(Interdisciplinary Unit by Concept-Based Inquiry: IUC)’ 설계 모형과 IUC 템플릿을 개발하고, 간학문적 통합단원의 설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의 절차와 개념기반 탐구학습 모형의 절차를 통합하여 4단계의 IUC 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IUC 설계 모형의 절차는 교육과정 분석하기, 통합단원 목표설정, 통합단원 평가계획, 통합단원 교수ㆍ학습 계획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에서 IUC 설계를 위한 IUC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IUC 템플릿을 활용하여 ‘매체와 함께 하는 우리’라는 통합단원을 예시적으로 개발하였다. ‘매체와 함께 하는 우리’ 통합단원은 국어, 음악, 미술, 영어의 4개의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매체’를 중심으로 매체의 유형과 기능, 매체의 활용 전략 및 표현방법, 매체와 윤리, 매체의 활용이라는 4개의 개념망을 구성하고, 이들 개념망에 해당되는 핵심 아이디어, 안내 질문, 핵심지식, 핵심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념기반 탐구학습 모형의 관계맺기, 집중하기, 조사하기, 조직 및 정리하기, 일반화하기, 전이하기, 성찰하기의 7가지 요소를 반영하여 28차시 분량으로 교수ㆍ학습 경험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IUC의 설계 모형과 IUC 템플릿이 단위 학교에서 간학문적 통합단원을 설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esign model and template for an “Interdisciplinary Unit by Concept-Based Inquiry (IUC)” and explore the feasibility of designing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unit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our-step IUC design model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procedures of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s with those of the concept-based inquiry learning model. This model comprises four procedural phases: curriculum analysis, setting goals for the integrated unit, establishing an evaluation plan for the unit, and plan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unit. In addition, an IUC template was developed to facilitate the design of IUCs in school settings. Second, the IUC templat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design interdisciplinary unit titled “Our Lives with Media.” This unit included content from four subjects, namely, Korean language, music, art, and English,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media,” which is commonly found across these subjects. The unit was structured aroundbased on four conceptual networks: types and functions of media, strategies and methods for media use, media and ethics, utilization of media. For each concept map, big ideas, guiding questions, key concepts, essential skills, values, and attitudes were developed. Moreover,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were designed for 28 sessions, reflecting the seven elements of the concept-based inquiry: engage, focus, investigate, organize, generalize, transfer, and reflect. The IUC procedural model and templat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significant as they provide a valuable framework for used by individual schools in to desig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uni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언식성 기반 한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oracy : focusing on the use of word games and picture books : 말놀이와 그림책 활용을 중심으로 김소희, 이관희, 방은수, 여수연, 조가영, 최영인 p. 1-26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변화교육 교수·학습 방안 =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using case-based learning 이슬기, 이상원 p. 27-51

생태전환교육 관련 초등학교 통합교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 focusing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 2015 개정 및 2022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소영, 배주연, 이상원 p. 53-72

학교자율시간 운영에서 초등예술하나 지원사업 연계 방안 = A plan fo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Art Hana Project in school autonomous hours 민병선 p. 73-95

영화와 신체놀이 융합 가족수학 프로그램이 수학 동기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 family math program integrating film and kinesthetic play on the motivation and perceptions of mathematics 한지은, 박만구 p. 97-113

책의 리좀과 읽기의 리좀 = Book and reading rhizomes : focusing on Chapter 1 “Rhizomes” of Deleuze and Guattari’s <Thousand Plateaus>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개의 고원』 1장 ‘리좀’을 중심으로 김도남 p. 115-133

개념기반 탐구학습 모형에 기반한 간학문적 통합단원 설계 = Design of interdisciplinary unit by concept-based inquiry 박일수, 김민섭 p. 135-151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 활동이 수학 학업성취도, 수학적 성향,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aining to other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disposi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김순금, 박성선 p. 153-170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캐나다와 한국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Canada and Korea 황선정, 김정원 p. 171-186

세계시민교육에서 공감 함양을 위한 그림책 활용 = Using picture books to promote empath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한유미, 이경윤 p. 187-206

에듀테크 기반 윤리적 소비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dutech-based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o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최나라, 한동균 p. 207-224

공간능력의 관점에서 ‘밀기(평행이동)’ 차시의 내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the “sliding(parallel translation)” lesson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ability 최미라, 전인호 p. 225-247

초등영어 교사용 지도서 학생 평가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탐색 = Teachers'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student assessment content i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guides 이순화 p. 249-268

해외 장기체류 경험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 영어 쓰기 코퍼스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english writing corpora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 using Coh-Metrix : Coh-Metrix 기반으로 유희연, 홍선호 p. 269-292

한국 교육대학 교수의 진성 리더십에 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authentic leadership of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 focusing on teachers’ rally for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 2023 : 2023 공교육 정상화 교원 집회를 중심으로 황정훈, 박소영, 박지수, 이지연 p. 293-321

초등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검사 경험 탐구 =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정상원, 송지환, 임은정, 원성준, 이순아 p. 323-349

초등학교 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제 개선방안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incipal's self-resolution system for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s 차영경, 이재용 p. 351-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