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해외 장기체류 경험 유무에 따라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코퍼스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728명의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영어 쓰기 결과물을 코퍼스로 구축하고 Coh-Metrix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항목으로는 단어 수, 평균 문장 길이, 어휘 다양성(TTR), 통사적 복잡성(명사구 밀도, 본동사 앞 단어 수, 명사구 수식어 수), 응집성(참조적 응집성과 의미적 응집성), 접속사 사용, 가독성(FRE, FKGL), 어휘 정보(습득연령, 구체성) 등이 포함되었다. 학년에 따른 분석 측정치가 해외 장기체류 경험 유무에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단어 수와 어휘 다양성이 증가했으며, 해외 장기체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더 높은 어휘 다양성을 보였다. 이는 자연스러운 영어 노출이 어휘 학습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해외 장기체류 경험은 통사적 복잡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영어 노출 외에 국어 능력 등 다른 요인이 중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외 장기체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의미적 응집성과 접속사 사용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여 해외 장기체류 경험이 있다고 해서 우수한 쓰기 능력이 있는 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가독성 측정치에서는 해외 장기체류 경험이 있는 고학년 학생들은 미국 7학년 수준의 글을 썼으며, 해외경험이 없는 고학년은 미국 5학년 수준의 글을 작성하였고, 해외 장기체류 경험 여부에 상관없이 저학년은 미국 4학년 수준의 글을 산출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어휘 정보 중에서 습득 연령과 구체성은 해외 장기체류 경험과 상관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해외 장기체류 경험 없이도 우수한 영어 쓰기 능력을 갖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초등 어휘 교수 시 자연스러운 영어 노출과 어휘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해 공교육 영어 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proficiency based on their long-term overseas experiences using a corpus-based approach. The study created a corpus of English writing samples from 728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samples using Coh-Metrix. The main analysis metrics were word count, average sentence length, lexical diversity (TTR), syntactic complexity (noun phrase density, number of words before the main verb, number of modifiers per noun phrase), cohesion (referential and semantic cohesion), conjunction usage, readability (FRE, FKGL), and lexical information (age of acquisition, concreteness).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on these metr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word count and lexical diversity improv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with students who had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displaying higher lexical diversity. Thus, natural exposure to English is essential for vocabulary acquisition.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yntactic complexity, indicating that other factors, such as native language proficiency, may play a more significant role. Interestingly, students without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demonstrated higher semantic cohesion and conjunction usage, indicating that overseas experience does not necessarily equate to superior writing skills. Regarding readability, students with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in higher grades wrote at a level equivalent to 7th grade in the USA, whereas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wrote at a 5th-grade level, and lower grades produced texts at a 4th-grade level, all of which reflect relatively high proficiency. The lexical information metrics, such as age of acquisition and concreteness, were not influenced by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can achieve excellent English writing skills even without long-term overseas experience. Therefore, natural English exposure and vocabulary learning should be enhanced in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follow-up studies should explor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English writing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