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성장한 미국인 선교사 후손으로서 한국학자가 된 클래런스 윔스 2세(Clarence N. Weems, Jr., 1907-1996)(이하 ‘윔스’)에 관한 연구이다. 윔스는 남감리교 선교사 클래런스 윔스(Clarence N. Weems, 1875-1952)와 낸시 윔스(Nancy A. Weems, 1879-1944)의 둘째 아들로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자랐고, 밴더빌트대학교에서 역사학으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42-1947년 미국 정부의 한국 전문가로 미국, 인도, 중국, 한국 등지에서 활동하였고, 1954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1881-1898년 한국의 개혁과 독립 운동(The Korean Reform and Independence Movement (1881-1898)」으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대표 업적은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 1863-1949)의 책에 부록을 붙인 『헐버트의 한국사(Hulbert’s History of Korea)』(1962)이다.

윔스는 한국에 대한 애정에 기반하여 일찍이 한국을 연구할 뜻을 품은 선교사 후손 중 한 사람으로, 서양인들의 전형적 한국관을 거부하고 한국의 역동성, 주체성 및 고유성을 드러낸 ‘MK(missionary kids) 한국학자’가 되었다. 또한 그는 한국 정부의 제안과 한국 및 여러 나라 역사학자들의 학문적 지원을 받아 『헐버트의 한국사』를 출간하였는데, 이는 19세기 말 ‘선교사 겸 학자(missionary-scholar)’의 연구를 20세기 중후반 ‘MK 한국학자’가 계승 및 발전시킨 대표적인 사례로서 주목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천연희 노트에 대한 언어·문화적 분석 = The linguistic and cultural analysis of Chun Yun-Hee’s notes 안예리 p. 37-70

재영학자 제임스 그레이슨의 한국학 연구 및 교육활동과 그 의의 = The significance of James Grayson’s research and teaching in Korean studies 권의석 p. 117-143

제프 핸델의 저서 『Sinography』(2019)와 한국의 차자 표기 = Zev Handel’s Sinography (2019) and the Korean vernacular writing 문현수 p. 145-181

‘-더-’의 인칭 구조와 인칭 제약 = A study on argument structure and person constraint phenomenon of ‘-teo-’ 담혜 p. 217-256

조선 시대 琉球 지식의 출처와 인용의 실제 = 朝鮮時代の琉球知識の出所と引用の実在 : 《冊封琉球使錄》を中心に : 《冊封琉球使錄》을 중심으로 조영심 p. 257-290

여성혐오의 관점에서 본 여성영웅소설 = Heroine novel Jeongsujeongjeon from the perspective of misogyny : <정수정전>을 중심으로 최지녀 p. 291-312

미국인 선교사 자녀들의 한국 연구 = Korean studies by American missionary kids : focusing on Clarence N. Weems, Jr. and Hulbert’s History of Korea (1962) : 클래런스 윔스 2세와 『헐버트의 한국사』(1962)를 중심으로 이영미 p. 9-36

북유럽으로 간 언어학자 = Seung-bog Cho (1922-2012) : a linguist’s journey to Scandinavia and his contributions on Korean linguistics : 조승복(1922-2012)의 삶과 한국어 연구·교육 허인영 p. 71-116

1970년대 전후 한일 문학 교류와 영향 = Literary exchanges and influ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1970s : focusing on the ‘literary spy incident’ and the movemen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writers in Japan : ‘문인간첩단사건’과 일본 내 문인 인권 구명 운동을 중심으로 윤미란 p. 385-406

포스트 메모리 세대와 5·18 = Post-memory generation and the May 18 : focusing on Park Sol-moe’s “What Shall We Say Then?”(「그럼 무얼 부르지」) and Han Jeong-hyeon’s “Kyoko and Kyoji”(「쿄코와 쿄지」) : 박솔뫼의 「그럼 무얼 부르지」와 한정현의 「쿄코와 쿄지」를 중심으로 조연정 p. 689-716

북한 전쟁서사에 나타난 애정담의 번역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love story in the North Korean War novel : focusing on Chinese translation of the propaganda magazine New Korea : 북한 대외홍보지 『새조선』의 중국어 번역을 중심으로 등천 p. 347-383

일본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지평과 역사 = The prospect and history of the study of Korean classics in Japan 야마다 교꼬 p. 313-345

한국학에서 집단전기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 The potential of prosopography in Korean studies 우경섭 p. 185-214

백제 무령왕릉 출토 왕비 두침의 정면과 봉황의 방향 = A study on the front side and direction of pheonix on queen’s pillow excavated at King Muryeong’s Tomb 이용진 p. 407-427

‘鄕’을 벗어난 鄕約 = Sangguanhoe(相觀會) in 17th-century Seoul and the Hyangyak(鄕約) beyond ‘local(鄕)’ : 17세기 서울의 相觀會 결성과 그 의미 이민정 p. 429-452

다산 정약용의 『상서』 재해석과 현능론 = Jeong Yak-yong’s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History(尙書) and his vision for Joseon’s governance : rediscovering Yao and Shun’s principles for Joseon : 왕도의 사공(事功)과 고적(考績) 김호 p. 453-492

영조대 毓祥宮의 성립과 公私 논의 = The public and private matter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f the Yuksang-gung in the King Yeongjo period 김윤정 p. 493-525

영조대 만민 교육 이념의 실천과 동몽의례 = Ritualized events to promote education for children in King Youngjo’s reign 김지영 p. 527-562

1903~1906년 漢城府 住民의 가족 구성과 삶의 방식들 = The family structure and lifestyle of the residents of Hansungbu(漢城府) between 1903 and 1906 : focusing on the household registers of Hanseongbu in the 7th and 10th years of Gwangmu(光武) : 光武 7년·10년 漢城府 戶籍을 중심으로 김현진 p. 563-590

고종대 ‘황극(皇極)’ 개념의 이해와 변용 = Understanding the Hwanggeuk(皇極) theory and its variations during Gojong’s reign 한보람 p. 591-617

김해 숭선전 벽화 연구 = 金海崇善殿壁画の研究 김정선 p. 619-640

1957년 <한국국보전(Masterpieces of Korean Art)>의 성립과정 검토 = Reevaluation of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1957 김현정 p. 64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