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잃은 소금은 땅에 버려질 뿐… 민심 잃은 정권의 운명도 그렇다" : '원로' 인명진 목사의 직설 [인터뷰]
|
[인터뷰이]: 인명진 ; 글: 유길용 ; 사진: 최기웅 ; 녹취·정리: 송선교
|
p. 22-27
|
|
|
|
"'박근혜 탄핵' 이후 최대 위기… 70대, TK 등돌리면 정권 무너진다" : '논객' 전원책의 보수 재건론 [인터뷰]
|
[인터뷰이]: 전원책 ; 글: 최현목 ; 사진: 최영재
|
p. 28-32
|
|
|
|
"명태균은 '정치판 스테로이드'… 여권 상당수 '정치 기술자' 명태균에 중독" : '검객' 김웅 변호사의 내부 고발 [인터뷰]
|
[인터뷰이]: 김웅 ; 글: 김태욱 ; 사진: 최영재
|
p. 34-38
|
|
|
|
정치브로커에서 尹 부부 '비선 책사'로… 명태균 입 열면 '최순실사태' 뛰어넘는다? : '시한폭탄' 명태균 A to Z
|
박세나
|
p. 40-43
|
|
|
|
"여사님 라인은 대통령실에서도 언터처블" : 용산 대통령실 '김건희 라인' 실체 추적
|
안덕관
|
p. 44-47
|
|
|
|
尹 부부와의 갈등 못 풀어내면 정치 생명 위험 : 취임 100일, 기로에 선 한동훈
|
배종찬
|
p. 48-53
|
|
|
|
"김건희 여사, 국민에게 사과하고 조용한 내조 약속 지켜야" : '여당 최연소'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 [인터뷰]
|
[인터뷰이]: 김용태 ; 글: 최현목 ; 사진: 김상선
|
p. 54-57
|
|
|
|
'보수 궤멸' 위기 속 '오세훈의 시간' 올까 : 尹·韓 갈등 반사이익… 보폭 넓히는 오세훈
|
전성무
|
p. 58-61
|
|
|
|
"주식 잘 아는 이재명, 금투세 합리적 판단 내려주길" : 송언석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인터뷰]
|
[인터뷰이]: 송언석 ; 글: 최은석 ; 사진: 최영재
|
p. 62-66
|
|
|
|
"통일은 진보·보수 넘어선 상위 개념… 김정은 상수로 두고 대북정책 수립해야" : 정동영 의원이 바라본 '한반도 두 국가론' 주장 [인터뷰]
|
[인터뷰이]: 정동영 ; 글: 김태욱 ; 사진: 최기웅
|
p. 68-73
|
|
|
|
"日 극우·전범 돈 받으며 변질, 점조직 활동하며 尹 정부서 제2 전성기" : 뉴라이트는 어떻게 보수 정권에 기생하게 됐나
|
최현목
|
p. 74-77
|
|
|
|
"친일은 수단일 뿐, 목표는 한·일 군사동맹" :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가 말하는 뉴라이트 속내 [인터뷰]
|
호사카 유지 [인터뷰이] ; 최현목 [취재]
|
p. 78-81
|
|
|
|
북·중·러에 둘러싸인 한국도 예외 아니다 : 초접전 美 대선판 뛰어든 러·중·이란의 영향력 공작 백태
|
유길용
|
p. 82-85
|
|
|
|
중동 '힘의 균형' 바꾸려 '전범 국가' 각오했다? : '헤즈볼라 괴멸' 노리는 이스라엘의 속내
|
이장훈
|
p. 86-91
|
|
|
|
어려운 때일수록 세상에 없는 기술에 투자 : '기술 경영'으로 위기 돌파 나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최은석
|
p. 94-97
|
|
|
|
최태원, 대만·미국 넘나드는 글로벌 광폭 행보 : 인공지능 봄 맞은 SK그룹
|
김태욱
|
p. 98-101
|
|
|
|
유럽 등 모빌리티 거점에서 미래차 생태계 구축 : 글로벌 영토 확장 속도 내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
최은석
|
p. 102-105
|
|
|
|
'K-방산 성공 스토리' 확산… 계열사 시너지 기대 : 72주년 한화그룹, '신념'과 '집념'으로 다시 뛴다
|
김태욱
|
p. 106-109
|
|
|
|
"전력 생태계 지속 위해선 요금 합리화 불가피" : 전기료 정상화 총대 멘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
|
최은석
|
p. 110-113
|
|
|
|
"260만 명 체류 외국인들의 1등 은행 되겠다" : 외국인 손님을 위한 하나은행의 '진심'
|
김영준
|
p. 114-117
|
|
|
|
FDA 문턱 넘은 최초 한국 항암제 렉라자 : 국산 항암제 새 역사 쓴 유한양행의 R&D 스토리
|
최은석
|
p. 118-121
|
|
|
|
정직과 신용으로 백년대계 세운 상인
|
이한구
|
p. 122-128
|
|
|
|
"걸리면 100% 枯死, 사람에게도 피해… 예찰과 방제 철저히 하면 건강한 숲 지켜"
|
김영준
|
p. 130-133
|
|
|
|
"강남 우위의 수직적 질서, 지방 혁신 거점 만들어 타파해야" :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은 왜 '강남 지배사회'를 저격했나 [인터뷰]
|
[인터뷰이]: 박형준 ; 글: 김영준 ; 사진: 최영재 ; 녹취·정리: 송선교
|
p. 136-141
|
|
|
|
"부산 발전 위한 문제에는 여야 따로 없다" : 138만 명 열망 담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
김영준
|
p. 142-145
|
|
|
|
"특별법 통과되면 부산의 도시경쟁력 글로벌 톱 10 진입 가능" :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는 부산의 담대한 도전
|
오재환
|
p. 146-149
|
|
|
|
"서울보다 재밌고 혁신적인 의정부 도시 생태계 뜬다" : 김동근 의정부시장과 이석현 교수가 만든 '도심 재구성 플랜' [대담]
|
[대담]: 김동근, 이석현 ; 글: 박성현 ; 사진: 최영재
|
p. 150-156
|
|
|
|
퇴직 예정자 자리까지 미리 뽑는 서울연구원 : '오세훈표' 서울시 산하기관 통폐합의 허실(虛實)
|
박성현
|
p. 158-161
|
|
|
|
'경기형 AI'로 사람 중심의 더 나은 미래 이끈다 : 글로벌 AI메카 도약 꿈꾸는 경기도의 비전
|
유길용
|
p. 162-165
|
|
|
|
지역 살릴 백년대계 대구시 독차지에 경북도 뿔났다 : '창군 이래 최대 규모'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 파열음
|
유길용
|
p. 166-169
|
|
|
|
"첨단 융복합 연구 주도해 서울시와 세계로 동반 성장" : 원용걸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의 글로벌 선도 비책(秘策) [인터뷰]
|
[인터뷰이]: 원용걸 ; 글: 최현목 ; 사진: 최영재
|
p. 170-174
|
|
|
|
"인공지능 G3 진입 꿈만은 아냐… 극단의 진영정치 버틸 수 없을 것" : 'AI 대한민국' 실무 총괄할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
[인터뷰이]: 염재호 ; 글: 박정호 ; 사진: 박종근
|
p. 176-181
|
|
|
|
밀입국 브로커 "배상윤? 어디에 있는지 당연히 안다" : 동남아로 도피한 범죄자들, 경찰 왜 못 잡나
|
안덕관
|
p. 182-185
|
|
|
|
문전성시 이태원 클럽… 참사 이전 '열기' 원상복구 : '이태원 참사 2주기'에 찾은 이태원 상권
|
글·사진: 김태욱
|
p. 186-189
|
|
|
|
"대한민국이 망해도 삼겹살은 살아남는다" : 뒷골목돗갈비 정재헌 대표 [인터뷰]
|
[인터뷰이]: 정재헌 ; 글: 안덕관 ; 사진: 최기웅
|
p. 190-193
|
|
|
|
한국문학, '한강 이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워졌다 :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K-문학'의 개화
|
유성호
|
p. 194-198
|
|
|
|
화려한 색채와 해학으로 담아낸 통렬한 비판의식 : '형상미술'의 대가 이흥덕의 시선 [인터뷰]
|
[인터뷰이]: 이흥덕 ; 글·사진: 조정화
|
p. 200-204
|
|
|
|
'이정후 핫도그'까지 파는 MLB 상술 : 미국 메이저리그(MLB)도 주목하는 K-야구 신드롬
|
류선규
|
p. 206-209
|
|
|
|
"아이돌 응원 문화가 야구장으로 넘어왔다" : 2024 야구장 점령한 MZ세대
|
글·사진: 송선교
|
p. 210-213
|
|
|
|
식사 자세로 교양 정도 판단하는 건 지금과 같아 : 기록을 통해 살펴본 조선의 식사 예절
|
이윤석
|
p. 228-232
|
|
|
|
세조의 왕위 찬탈이 빚어낸 역사의 불협화음 : 성삼문과 신숙주, 집현전 친우(親友)의 엇갈린 선택
|
권경률
|
p. 234-239
|
|
|
|
하늘에 부끄럽지 않으려 했으나 탄압 당한 사상(思想) : 사후(死後) 문집이 불태워진 갈암(葛菴) 이현일
|
송의호
|
p. 240-244
|
|
|
|
"궁(宮)과의 거리 가까워 왕족도 선호… 일제강점기 명동(남촌) 위세에 밀려나" : 권력자들이 살았던 공간 '북촌(北村)'
|
유성운
|
p. 246-249
|
|
|
|
세계 해군사 전설로 통하는 이순신. 4, 압승임에도 노량 해전을 대첩이라고 부르지 않는 까닭은…
|
이훈범
|
p. 250-257
|
|
|
|
일본 캐릭터 중 최고참… '일본=신비' 공식 세계에 전파 : 올해 50세 된 '인류의 힐링 자산' 헬로키티
|
유민호
|
p. 258-263
|
|
|
|
천재 건축가 가우디의 도시… 몬주익 언덕에는 황영조의 흔적이 : 열정과 낭만의 '문화도시' 스페인 바르셀로나
|
고혜련
|
p. 264-269
|
|
|
|
"내가 믿는 것이 나를 만든다!" [서평]
|
박성현 [평]
|
p. 27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