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합동성 발휘를 제한하는 문제의 근원(根源)을 살펴보고 이에 맞는 심리적·가치적 측면에서 합동성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합동성 문제의 근원에는 심리적 부분이 깊게 자리잡고 있으며, 합동성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군 조직 및 부대구조 개편, 전력발전 등의 물리적 합동성 강화와 병행하여 심리적 합동성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심리적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합동군의 핵심가치 제정과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합동군의 핵심가치(안) 4가지 ‘상호이해와 존중, 헌신, 명예, 팀워크’를 제안하였고, 핵심가치 실천을 위해서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합동군의 핵심가치는 구성원들의 심리적 유대감, 동질감을 증가시키고 ‘자군 중심주의’라는 박스 사고(Box Thinking)에서 탈피하여 ‘합동성’이라는 큰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창(Window)의 역할을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합동군의 핵심가치 제정을 통한 합동성 강화방안 =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jointn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re values of the joint force 조태근, 윤대엽 p. 89-116

현재와 미래의 군 지휘체계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Legal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military command system in the present and future 이상수, 정성호 p. 57-88

병역자원 감소 시대, 해군 복합승조원제 도입을 위한 시론적 탐색 = A preliminary study on a hybrid crews system for the ROK Navy in the era of demographic cliff 김현승 p. 181-208

군 갈등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military conflict management systems 장특보, 이현응 p. 147-180

전략사령부 창설 어떻게 할 것인가? 인도와 파키스탄의 전략사령부 창설, 운용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과 함의 = How to establish the strategic forces command? Lessons from strategic forces command experiences of India and Pakistan 김태형 p. 1-32

김정은 시대 조선인민군의 ‘은닉 대본’과 당·군 관계 = Party-military relations and the hidden transcripts of the Korean People's Army : focusing on the Kim Jong-un era : 이론적 분석과 정치적 함의 백승국, 장석준 p. 117-145

아이젠하워 행정부 출범 전후 6·25전쟁 확전 논의 고찰 = A study on issues about expanding the scope of the conflict in the Korea War before and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손경호 p. 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