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낭만적 사랑의 재고 = Reconsidering romantic love in <Sugyeongnangjajeon> : focusing on the loss of the protagonist's subjectivity and neurotic symptoms : 주인공의 주체성 상실과 신경증적 증상을 중심으로 백지민 p. 7-25
대학 독서교육과 중등 독서교육의 연결 방안 모색 = Seeking a way to connect university and secondary reading education : utilizing an integrated platform : 통합플랫폼의 활용 김성연 p. 27-46

김남주 시 「노래」의 언술 형식 연구 = A study on the form of speech in Kim Nam-ju's poem "Song" 김장근 p. 47-78
김수영 시작(詩作)의 음악성 연구 = Musicality of Kim Soo-young's poetry : based on influence of T.S. Eliot : T.S. 엘리엇의 영향을 바탕으로 박가희 p. 79-115
자기-박탈의 서사와 공거의 윤리 = Narrative of self-dispossession and the ethics of cohabitation : focusing on Baek Su-rin's novels "The Noon of Summer" (2014) and "The Trajectory of Time" (2018) : 백수린의 「여름의 정오」(2014)와 「시간의 궤적」(2018)을 중심으로 박구비 p. 117-141
해방기에 소환된 망국의 역사 = History of the nation's fall recalled in the liberation period : translation of History of the Loss of Vietnam (1949) by Jin-Sung Kim : 김진성의 『월남망국사』(1949) 번역에 대하여 손성준 p. 143-175

1920년대 아동극 형성에 미친 ‘색동회’의 영향 = The influence of 'Saekdonghoe' on the formation of children's plays in the 1920s : focusing on Eorini : 『어린이』를 중심으로 손증상 p. 177-213

냉전말기 중국번역장의 개혁개방과 한국문학의 수용 = Reform and opening-up of the Chinese translation field and the acceptance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late Cold War 엄진주 p. 215-241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도스토옙스키 소설의 영향관계 고찰 = The influence of Dostoevsky's novels on Pak Kyongni's Land : focusing on the author's childhood and memories : 작가의 유년시절과 기억서사 중심으로 이현영 p. 243-269
아나키즘의 시각으로 본 최서해의 여성의식 = An anarchist perspective on Choi Seo-hae's female consciousness 조열 p. 271-301
한국형 좀비 서사에 나타난 ‘젠더 이데올로기’ 연구 = The study of gender ideology in Korean zombie narratives 김소륜 p. 303-322

한국수어 관용 표현의 개념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the concept of conventional expression in KSL 안혜지 p. 325-347
구술 말뭉치의 문말 성분 연구 = Sentence-final components of oral narrative corpus : focus on contrast verbless sentence : 무동사문의 대조를 중심으로 이진병 p. 349-382
감탄사 ‘아’와 ‘어’의 의미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exclamations "Ah" and "Eo" appearing in conversations 치웨이, 김양진 p. 383-408
인명을 활용한 신어의 형태적·의미적 특성 연구 =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neologisms derived from personal names 황지영 p. 409-432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의 듣기 전략 학습 분석 연구 = Learning analysis of listening strategies in Korean listening text 김현진 p. 433-460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청년 대학생의 감정 단어와 표현 분석 = Analysis of emotional words and expressions of young college students through text mining : focusing on writing one's own narrative : 자기서사 글쓰기를 중심으로 백윤경, 김정숙 p. 461-488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eer feedback model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 with a focus on evaluation questionnaire components and utilization : 평가 질문지 구성 및 활용을 중심으로 서수정, 이미혜 p. 489-515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 한국어 수업을 위한 제언 = Suggestions for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유해준 p. 517-532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research of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이수미, 신필여, 장문정 p. 533-558
교환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기반 말하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 task-based Korean speaking class for exchange students 이지혜 p. 559-593
한글 학습 단계에서 겹받침 자음군단순화 교육 효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 critical review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simplifying double final consonants in the stages of learning Hangeul 임건수 p. 595-620
세종학당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설을 위한 기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an academic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King Sejong Institutes : focusing on KSI stakeholders' needs analysis : 세종학당 관계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장미경, 이선영, 이유경, 이승연 p. 621-648
중국인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쓰기 자기 평가 체크리스트 설계 = Designing a writing self-assessment checklist for Chinese academic purpose learners 조국송, 민정호 p. 649-679
인공지능 기반 쓰기 평가 도구와 글쓰기 평가자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AI-based writing assessment tools and human evaluators : focusing on book report texts : 독후감 텍스트를 중심으로 차준우, 최서희, 이기성 p. 681-705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 focusing on 'Business Korean for Türkiye Learners 1 & 2' : ‘튀르키예 학습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1, 2’를 중심으로 최은경 p. 707-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