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부모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영유아의 어머니 2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부모소진은 높지 않게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보통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불안, 회복탄력성, 부모소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회복탄력성,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소진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부모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부모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은 양육불안이 부모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기 어머니의 소진에 미치는 양육불안의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부모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자녀양육과정에서 부모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parental burnout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The study targeted 263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4.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parental burnout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ow, while resilience was evaluated as above averag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nxiety, resilience, and parental burnou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resilience, as well as between resilience and parental burnout. Parent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burnout. Third, parenting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burnout, while resilience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arenting anxiety on parental burnou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act of parenting anxiety on parental burnout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b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s a means to reduce parental burnout,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eventing parental burnout in the child-rearing proces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