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과 함께, 학교 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한 대학생 커뮤니티 사이트에 설문링크를 게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SPSS PROGRAM 25.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위해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 후, Baron과 Kenny가 제시한 회귀분석 방법 및 sö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학습된 무기력, 지연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습된 무기력을 통해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자녀 역시 심리적 영역에 대한 부모의 통제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통제가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무기력을 학습하여 해야 할 일을 미루는 지연행동으로 이어짐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 of learned lethargy in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delayed behavio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posted a survey link on the university student community site available through school certification, along with snowball sampling for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year college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With this data, the correlation with mediator effect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25.0 ver. After the confirming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identified in this study.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showed that a static correlation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learned lethargy, and delayed behavior exists. Second, a mediating effect of learned inert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delayed behavior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 is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college-aged students are also affected by parental control of the psychological field, leading to delayed actions that put off their work by making them learn the lethargy of not being able to escape from such an inconvenient s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actual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su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ervices usage motivations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 외로움의 매개효과 이재경, 박은아 p. 1-23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학교생활만족도와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nline and offline interaction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난 p. 25-4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부모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parental burnout of mothers with infant and toddler children 최혜진, 조은래 p. 49-71
대학생 마음챙김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and happiness : 수용과 행복감의 이중매개효과 김은진 p. 73-93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delay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 홍정연, 김봉환 p. 95-120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job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rauma-informed care :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은아 p. 121-146
초등 예비교사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의 구조적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A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go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류금주, 박일수 p. 147-175
전문상담교사의 특수아상담 실제 능력 함양을 위한 제언 = Suggestions for professional counselors to cultivate practical skills for specialized child counseling 문지혜, 하수경 p. 177-200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빈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subjective health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김경희, 서부일 p. 201-22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 esteem of college students on depression :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 SNS 중독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재확인추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혜지, 차유성, 이은영, 김영근 p. 227-252
장기간 졸혼생활에서 경험한 심리적 고립감에 따른 자살생각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uicidal thoughts due to psychological isolation experienced in long-term of graduation from marriage : focusing on middle-aged and elderly 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 1인가구 중·장년 남성을 중심으로 이주은 p. 253-283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Effectiveness study of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H : H 대학교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전명희, 정윤호, 정하늘 p. 285-307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 moderated mediation of optimism and mentalizing : 낙관성과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윤, 김형수 p. 309-339
어머니의 자기분화가 청소년 자녀 정신건강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ternal self-differentiation on perceived adolescent children’s psychological health :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parenting behavior : 정신화와 양육행동의 순차매개효과 조자영, 양혜정 p. 341-370
학교폭력 ‘학교장 자체해결제’의 학교현장 인식과 내실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chool-based self resolution of school bullying 최희주, 금창민, 이한나, 김영근 p. 371-414
하브루타 프로그램이 초기 성인기의 자기성찰지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havruta program on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early adulthood 정선영, 서예인 p. 415-446
보호자 중심 운영에 따른 보호자의 사회적 자본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negative impact of caregiver-centered operations on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 focused on Yangcheon-gu adoptee death case : 양천구 입양아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유태한, 김하은 p. 447-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