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과 함께, 학교 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한 대학생 커뮤니티 사이트에 설문링크를 게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SPSS PROGRAM 25.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위해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 후, Baron과 Kenny가 제시한 회귀분석 방법 및 sö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가졌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학습된 무기력, 지연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습된 무기력을 통해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 자녀 역시 심리적 영역에 대한 부모의 통제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통제가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무기력을 학습하여 해야 할 일을 미루는 지연행동으로 이어짐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 of learned lethargy in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delayed behavio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posted a survey link on the university student community site available through school certification, along with snowball sampling for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year college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With this data, the correlation with mediator effect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25.0 ver. After the confirming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identified in this study.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variables showed that a static correlation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learned lethargy, and delayed behavior exists. Second, a mediating effect of learned inert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delayed behavior that college students perceive is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college-aged students are also affected by parental control of the psychological field, leading to delayed actions that put off their work by making them learn the lethargy of not being able to escape from such an inconvenient s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actual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su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