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중독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재확인추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95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우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 재확인추구를 측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이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재확인추구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을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재확인추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대학생의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인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이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을 유발함을 뜻하며, 더 나아가 이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재확인추구 경향성이 작용함을 의미한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재확인추구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는 반면 자아존중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독경향성을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재확인추구의 조절효과가 나타남은 손상된 자아에 대해 적절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95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o assess their levels of self-esteem, depress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Second,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on. Third, while SNS addiction tend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pathway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on. This suggests that low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leads to SNS addiction tendency, which in turn triggers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with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exacerbating this effect. Notably, although excessive reassurance-seeking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on, it moderated the pathway from self-esteem to depression via SNS addiction tendency, indicating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argeting impaired self-esteem.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