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세기 초 서간도로 망명을 떠나 安東(현 丹東) 接梨樹村에 기거하며 ‘西溝結社’ 조직에 가담한 유림의 망명 전 교유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盧相益 주도로 조직된 ‘서구결사’에 참여한 13명은 ‘西溝結社錄’에서 확인된다. 노상익을 포함한 8명은 접리수촌에 함께 기거했던 인물들이고, 나머지 5명은 잠시 머물렀던 인물들이다. 그중에는 노상익, 이건승처럼 널리 알려진 인물도 있지만, 인적 사항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李慶一, 黃圭顯, 安蘅遠 등도 포함되어 있다.

13명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을 살펴본 결과 이들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은 출발지에 따라 크게 경상도 출신 인물들끼리의 교유와 강화도 출신 인물들끼리의 교유로 나누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가운데 경상도 출신은 性齋 학파, 寒洲 학파로 나뉘고, 강화도 출신은 양명학파로 묶여 있고, 그밖에 華西 학파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 이들은 대부분 망명 전부터 혈연, 지연, 학연 등으로 엮여 있어 교유 양상이 대부분 겹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에 더해 망명 전부터 교유가 전혀 없던 강화도 지역 양명학자 이건승과 경상도 지역 유림의 교유는 망명 전 이건승의 형 李建昌과 安孝濟와의 교유 관계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도 거듭 확인했다. 이를 통해 ‘서구결사록’에 이름이 오른 13명은 망명을 떠나 ‘서구결사록’에 이름을 올리기에 앞서 고국에서부터 유무형의 교유 관계가 있었고, 그 관계를 이어 망명지에서 ‘서구결사’까지 조직하게 된 것이었다.

이처럼 ‘서구결사록’에 등재된 13명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물은 그들의 망명 전후 행적의 연관성 파악과 망명지에서의 교유 양상과 활동 반경 연구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황원 ‘長城大野’구에 대한 평가와 영향 = Evaluation and impact of Kim Hwang-won's 'long fortress wall and the vast field' 도승구 p. 11-49

趙啓命 『南谷稿』, 趙九鎭 『聽凉軒稿』 연구 = Research on Jo Gye-myeong's Namgokgo and Jo Gu-jin's Cheongnyangheon Yuju 김민학 p. 51-88

유몽인의 1622년 = A study on the 1622 of Yu Mong-in(柳夢寅) : communion between Sun-Bi(士, Confucian scholar), Seung-Ryeo(僧侶, Buddhist monk), Sin-Seon(神仙, Taoist immortal) : 선비, 승려, 신선의 交應 김홍백 p. 89-151

接梨樹村 西溝結社 儒林의 망명 전 교유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pre-exile social interactions of the Yulim Scholars in Jeop-risu Village and Seogu Gyeolsa 이은영 p. 153-180

19세기 조선 문인의 수선화 완상과 시적 형상화 = An analysis of the narcissus appreciation culture and poetic representation in 19th century Joseon 채지수 p. 181-218

日新齋 鄭義林 시에 나타난 韓末의 강회활동 = Lecture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n in the poems of Il Shin-jae Jeong Eui-rim 이영숙 p. 219-246

朱子 小學 공부론에서 涵養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Hanyang in the Xiaoxue Gongfu theory of Zhu Xi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Yifahanyang : 已發涵養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경훈 p. 247-270

‘언어생활과 한자’의 문식성 교육 적용 담론 = Discourse on the application of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to literacy education 이성형 p. 271-319

교원양성기관의 예비교원 대상 한문 자료를 활용한 인성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using Chinese character data for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 focusing on the basic academic liberal arts course <Future School and Personality Education> at K-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 K대학교 사범대 교양 <미래학교와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안세현 p. 32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