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아스떼까의 깔뿔리의 공동체적 성격을 토지와 노동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고자 한다. 깔뿔리 공동체에 관한 연구를 통해 오늘날 사라지고 있는 공동체적 가치와 그 가치의 실현 방식을 이해하고, 자본주의적 삶의 대안으로서 공동체와 공유재산의 의미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다. 깔뿔리는 규모와 성격이 다양했지만, 아스떼까인의 공동체 정신을 잘 보여준다. 깔뿔리는 떼꾸뜰리와 깔뿔렉을 중심으로 한 통치체제를 가지고 있었다. 깔뿔리의 공동체적 성격은 깔뿔리 주민이토지를 인식하고 관리하는 방식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 깔뿔레께는 토지를 공동자산으로 인식했다. 깔뿔리 사람들이 노동하는 방식은 공동체의 핵심인 상호 협력과 연대를 가장 잘 보여주었다. 꼬아떼끼뜰 같은 집단노동에 참여함으로써 구성원들은 공동체 의식과 연대감을 느꼈다. 노동에 대한 이러한 집단적 참여는 구성원들에게 소속감과 지역 사회와의 연대감을 주었다. 이러한 연대감의 근저에는 깔뿔리 사람들의 종교적 정체성이 있었다. 이는 그들이 숭배하는 수호신과 그들의 친족적 기원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깔뿔리의 공동체 생활에는 한계가 있었다. 계급 차별, 토지 사유화, 강압, 위반 및 처벌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대와협력에 기반한 토지공유 개념과 당시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던 신, 인간 및 자연에대한 인식은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탐구하는 데 고려할 가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화정말 제정초 ‘황제들의 포룸’ 조성과 그 의미 = Formation of the 'imperial fora' during the late republic and early principate and its meaning 고한석 p. 11-41
초기 앵글로-색슨 왕국 시대 왕권 변화 = Kingship of Early Anglo-Saxon Kingdoms : focusing on laws of 6th and 7th centuries Kentish kings : 6∼7세기 켄트 법을 중심으로 이상동 p. 42-69
토지와 노동을 통해서 본 아스떼까 깔뿔리의 공동체성 = Analyzing the communality of the Aztecs through land ownership and labor practices 김윤경 p. 70-101
“그녀의 아이들은 국왕의 신민들이다” = "Her children are subjects of the king" : nationality, marriage, and legal status of the Huguenot refugees, 1685-1713 : 위그노 난민 가족의 국적과 결혼 그리고 법적 신분, 1685-1713 강석환 p. 102-131
네르친스크 조약 직후 청-러시아 간 외교 프로토콜 정립 문제 = The problem of establishing diplomatic protocols between Qing and Russia after the Treaty of Nerchinsk : focusing on the visit of the Russian Ides Mission to Beijing : 러시아 이데스 사절단의 북경방문을 중심으로 박지배 p. 132-166
러시아 제국의 해외 식민지 루스카야-아메리카 = Management of Russkaia-America focusing on the dynamics in the Russian-American company : 러시아-아메리카 회사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박원용 p. 167-200
빈민만을 위한 워크하우스? = Workhouses only for the poor? : establishment of workhouses and trends in the capital market from the late 18th to early 19th centuries : 18세기 말∼19세기 초 워크하우스 건립과 자본 시장의 동향 강명수 p. 201-228
자르징 아메리카 = Jardim América : transnational urban planning of Brazil's garden city : 브라질 정원도시의 복합적 트랜스내셔널리티 박진빈 p. 229-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