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DBT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그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DBT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의 현황을 파악할 뿐 아니라 향후 DBT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DBT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을 검토한 뒤, 분석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총 8편을 선별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국내 DBT 기반 프로그램 연구들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특정 어려움에 초점을 두고 이의 개선을 위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합 DBT(Comprehensive DBT)를 적용한 연구는 없었으며, 모든 연구들이 DBT의 4가지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집단 기술 훈련(DBT skills training)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셋째, 각 프로그램의 회기 수 및 시간은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넷째, 분석대상 논문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3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DBT 기반 프로그램 연구 및 실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informed programs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comprehend the current status of DBT-informed program research in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research. To achieve this, DBT-informed program studies published in Korea until December 2023 were reviewed, and a total of 8 studies meeting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BT-informed program studies mainly targeted adults, focusing predominantly on specific difficulties to improve related symptoms. Second, no studies were found applying Comprehensive DBT, and all studies focused on DBT group skills training, one of the four components of DBT. Third, the number of sessions and durations varied widely across programs. Fourth,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analyzed studies was 0.930, indicating a high effect siz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DBT-informed program research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