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 이 글은 하나의 기독교윤리학적시론으로, ‘조선인’을 근대인으로서의 ‘한국인’으로 만드는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에 대한 관심을 응용하여 근대 전환기 한국기독교가 ‘그리스도인’ 만들기에 주력했음을 살펴보았다. 제자도라는 용어가 최근의 것이기는 하지만, 근대 전환기 한국기독교의 카테케시스가 세례자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제자됨을 추구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근대 전환기 한국기독교는 ‘학습교인’이라는 훈련을 통하여 ‘세례예정자(catechumens)’로 세운 후 ‘세례교인’이 되게 했다. 세례 이후에도 지속적인 권면과 권징을 통하여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것을 촉구했다. 우상숭배금지, 귀신숭배 금지, 조상숭배 금지라는 3대 금지사항 아래 축첩금지, 금주, 금연, 노름 금지 등 네 가지 실천 사항을 훈련시킨 것은 중요한 특징이다. 오늘의 한국기독교는 제자도를 ‘경전에 대한 공부’에 국한시키는 경향을 극복하고 성화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윤리성숙에 관심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I 시대의 외국어 교육용 AI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구축 =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analyzing AI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AI era 권영숙 p. 111-138
프란시스 킨슬러 선교사의 생애와 사역 = The life and ministry of missionary Francis Kinsler 김유준 p. 139-166
근대 전환기 ‘카테케시스’에 나타난 제자도 = An ethical approach to catechesis of Korean church in modern transitional period : 윤리학적 試論 문시영 p. 167-194
헨리 조지의 정치경제학의 기독교사회윤리적 의의 = Christian social ethical significance of Henry George's political economy 박종균 p. 195-229
미션 모라토리엄에 대한 오해와 이해 = Mis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mission moratorium :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John Gatu’s proposal : 존 가투(John Gatu) 제안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변창욱 p. 231-268
『천주실의(天主實義)』 수용과 적용 비교 연구 = Studying on acceptance and application and of 『Tianzhu shiyi』 : focusing on 『Bianxue yidu』, Xú Guāngqǐ and Yi Ik : 『변학유독(辯學遺牘)』, 서광계(徐光啓), 이익(李瀷)을 중심으로 서정원 p. 269-297
마을 목회의 선교-교육적 역할 = The missional and educational role of ‘Ma-eul’ ministry : a case study of the link church model at Happy Church in Eungam-dong : 응암동 행복한교회의 링크처치 모델 사례 안정도 p. 299-334
자살문제에 대한 선교적 접근 = A missional approach to suicide : focusing on responding to suicidal attitude influencers : 자살태도 영향요인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이성곤 p. 335-362
1980년대 한국 통일운동에서 일본기독교의 역할 = The role and awareness of Japanese Christianity in the Korean unification movement in the 1980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Korea-Japan Christian relations : 한일기독교관계사의 관점에서 이치만 p. 363-391
생태위기시대의 ‘생태적 화해’(Eco-reconciliation)로서의 선교 연구 = A research on mission as ‘eco-reconciliation’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조명미 p. 393-428
장 칼뱅과 칼 바르트의 교회론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ecclesiologies of John Calvin and Karl Barth :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invisible and visible church : 불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 이해를 중심으로 최유진 p. 429-458
중앙아시아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종교 = Socio-cultural situation and religion in Central Asia 최현종 p. 459-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