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50~60년대 명동 다방들은 문학예술의 비공식적 장의 역할을 했으며 문인들에게 ‘명동 시절’이라고 회고되는 하나의 공통 기억을 이루고 있다. 다방 공간은 기존에 다방 문화에 부 과되었던 편견이나 청춘, 낭만, 예술혼 같은 피상적인 키워드를 넘어 문학인들이 제도권 바깥 에서 궁핍한 시대를 헤쳐나가고자 한 역동적인 장이었으며 ‘명동시절’의 기억은 자생적 생태 계와 문화 연대를 형성하려 했던 한국문학사의 중요한 풍경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은 당시의 명동 다방 공간과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고, 생애사와 관계망의 다양한 맥락을 섬세하 게 드러내는 구술채록연구의 특성을 살려 기록된 문학사의 빈틈을 채우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심층면접을 통한 구술채록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하는 문예이면사 연구이며, 직접 진행 한 인터뷰 녹취를 기반으로 하되 구술 내용을 파악하여 분석하기 위해 구술자의 회고록, 언론 보도, 관련 문헌 등을 다양하게 검토했다. 이를 통해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당대의 다방 공간을 문학사적으로 주목해 기존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작가 생애사 연구를 보완 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려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한 구술채록의 구술자는 시인이자 영화평론가인 김종원과 소설가 김녕희인데, 기존 연구가 부족하여 선행 연구를 보충하는 학술연구의 의의가 있다. 등단을 전후하여 신인 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문학 활동 초기에 경험한 ‘명동시절’에 대한 생생한 구술은 ‘명동 시절’ 이 당시 자신들을 포함한 젊은 문학도들과 신진 작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다양한 문화 예술인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하였던 자생적이고 자유로운 명동의 공간들이 그들에게 어떠한 문화적 토양이 되었는지를 잘 나타내준다. 또한 이 연구는 문단의 ‘명동시대’와 연극영화의 연결점을 드러내고, 명동 공간의 젊은 여성문인들을 살펴보며 50~60년대 명동 공간에 대한 또 다른 의미 부여와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려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파울리나 시지아느의 성장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적 여성 주체 = The postcolonial female subject in Paulina Chiziane’s bildungsroman 임소라, 배혜지 p. 5-30
1950~60년대와 ‘명동시절’의 기억 = Memories of the 1950s-60s and the ‘Myeong-dong era’ : a study of the unofficial literary history based on oral records : 구술채록 기반 문예이면사 연구 김지윤 p. 31-64
동정심, 분별력과 시적 기교 = Pity, judgement and poetic arts : Dante’s Francesca and Chaucer’s Dido : 「지옥편」<5곡>의 프란체스카와 『명예의 전당』과 『착한 여인열전』의 디도를 중심으로 최지연 p. 65-88
한국계 미국 작가의 디아스포라 문학의 번역 = Translation of the diaspora literature of Korean-American writers : Chang-rae Lee’s native speaker and Min Jin Lee’s Pachinko : 이창래의 Native Speaker 와 이민진의 Pachinko를 중심으로 이형진 p. 89-117
언어에 저항하는 언어 = Language in resistance to language : a review of Blanchot’s ‘Writing of the Chaos’ : 블랑쇼의 ‘카오스의 글쓰기’에 관한 소고 송태미 p. 119-134
미국 화인 디아스포라 시의 기원 양상과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s and perceptions in Chinese American diaspora poetry 박남용 p. 135-158
세기의 전환기 영국 가정 문제극에 나타난 ‘과거가 있는 여자’ 주제의 현대성과 한계 = The modernity and limitations of the ‘woman with a past’ theme in turn-of-the-century British domestic problem plays 박정만 p. 159-182
P. 키냐르의 『세상의 모든 아침』 속에 나타난 환대의 문제 재고 = Reconsidering the problem of hospitality in P. Quignard’s Tous les Matins du Monde 박찬빈, 박치완 p. 183-209
미셸 투르니에와 창세기 다시쓰기 = The rewriting of genesis in the work of Michel Tournier : focusing on the tale “La famille Adam” : 「아담가(家)」를 중심으로 권서원 p. 211-235
현대 투르크메니스탄 영화 연구 = A study on the contemporary Turkmenistan cinema : focusing on the film Red Kurte, directed by Sakhysalykh Bayramov : 사흐이살르이흐 바이라모프 감독의 영화 <크줄 크루테>를 중심으로 홍상우 p. 237-255
베케트의 연극미학과 정체성 탐색 = Beckett’s theatrical aesthetics and the exploration of identity : the case of Waiting for Godot : 『고도를 기다리며』의 경우 이영석 p. 257-280